인구증가도시, 감소도시보다 월평균 임금 35만원 더 많았다

2018.04.10 22:20 입력 2018.04.10 22:30 수정

국회예산정책처 “인구 증감·취업 증가율 사이에 상관관계 확인”

인구증가도시의 청년고용률, 수도권·광역시 이어 두번째로 높아

인구증가도시, 감소도시보다 월평균 임금 35만원 더 많았다

저출산·고령화와 청년인구 유출로 전국의 지방도시들이 뿌리부터 흔들리고 있지만 지난해 기준 인구 20만명 미만인 지방중소도시 100곳 중 31곳은 과거 5년간 인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은 역시 일자리였다.

인구가 증가한 지방중소도시들은 감소한 도시들보다 청년 고용률이 1.1%포인트, 시간당 임금은 2.1%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제조업 종사자의 월평균 임금은 35만원 더 많았다. 인구가 증가하는 지방중소도시 청년들이 단시간 근로에 종사할 확률은 수도권과 광역시보다도 낮았다.

10일 국회예산정책처 인구전략분석과 김정환 경제분석관은 ‘산업동향 & 이슈’ 3월호에 실린 ‘지방중소도시 인구감소 현상과 고용여건 분석’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전국 기초단체 226곳을 수도권·광역시, 2017년 기준 인구 20만명 이상 지방중소도시, 인구 20만명 미만 지방중소도시로 나누고, 인구 20만명 미만의 지방중소도시는 지난 5년간 인구가 증가한 도시(인구증가도시)와 인구가 감소한 도시(인구감소도시)로 세분화했다. 혁신도시 6곳(음성·증평·김천·나주·완주·서귀포)은 모두 인구증가도시로 분류됐다.

인구증가도시, 감소도시보다 월평균 임금 35만원 더 많았다

각 지역 거주자들의 임금과 고용률을 분석한 결과, 인구증가도시는 인구감소도시보다 임금근로자 임금이 12만원 이상 더 많았다. 지난해 상반기 인구감소도시의 월평균 임금은 208만3000원, 인구증가도시는 220만5000원이었다. 인구 20만명 이상 지방중소도시는 244만1000원, 수도권·광역시는 257만5000원으로 임금이 높은 지역일수록 인구가 뚜렷하게 많았다.

제조업 취업자 수의 증가가 임금 인상으로 이어지고 인구의 증가로 이어졌다. 임금근로비율은 인구가 많을수록 높아져 지방중소도시일수록 근로형태는 자영업에 편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인구증가도시의 지난해 상반기 제조업 취업자 비율은 21.2%로 인구감소도시(15.3%)보다 높았고, 서비스업 취업자 비율은 인구증가도시가 48%로 인구감소도시(48.4%)보다 낮았다.

제조업 및 광공업·건설업 종사자들의 임금은 인구증가도시가 259만7000원으로 인구감소도시(224만5000원)보다 35만2000원 많았다. 반면 농업·어업·임업 분야의 임금은 인구증가도시(127만8000원)가 인구감소도시(131만원)보다 3만2000원 더 적었다. 보고서는 “인구증가도시 지역의 시간당 임금이 인구감소지역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며 “혁신도시 등의 건설과 산업구조의 변화 등이 임금 인상을 이끈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청년이 일하기에 우호적인 환경을 갖추고 있다는 점도 인구증가도시의 특징이었다. 15~34세 청년고용률은 인구증가도시의 경우 47.8%로 수도권·광역시(49.4%)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36~64세 고용률은 인구증가도시(80.6%)가 가장 높았다. 인구증가도시들은 대도시보다 고용안정성 면에서는 여건이 좋았다.

청년이 주당 36시간 미만의 단시간 근로에 종사할 확률은 인구증가도시가 10.9%로 수도권·광역시(12.7%)보다 낮았다. 지방중소도시는 12.3%, 인구감소도시는 13.4%였다. 혁신도시에 입주한 공공기관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인구감소도시의 경우 청년고용 개선 및 지역산업 육성을, 인구증가도시는 지속적 경제성장전략 수립과 혁신도시·행복도시 등과의 연계로 인구증대를 모색해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