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도시 안에서 여름 길이 두 달 차이? 비결은 공원과 녹지

2018.04.13 10:45

수원시 기상수집 지역의 계절일수(2016년~2017년)

수원시 기상수집 지역의 계절일수(2016년~2017년)

경기 수원시 팔달구에 있는 수원시청 인근은 수원에서도 가장 번화한 지역 중 하나다. 왕복 10차선 대로가 주변을 관통하고, 분당선 수원시청역이 바로 앞에 있다. 대형마트와 백화점, 아파트와 높은 건물도 빼곡하다. 직선거리로 약 10㎞ 떨어진 수원시 상광교동은 백운산과 광교산을 끼고 있는 지역이다. 녹지가 대부분이고 큰 건물이나 아스팔트 도로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같은 도시 안, 두 지역의 ‘계절의 길이’는 얼마나 차이가 날까.

같은 도시더라도 주변에 공원이나 녹지가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여름 길이가 길게는 두 달 가까이 차이가 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2016년 6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수원시 소재 11개 지역에서 측정된 기상자료를 토대로 봄·여름·가을·겨울의 시작일, 측정지역 반경 500m 안에 있는 ‘그린인프라’ 및 ‘그레이인프라’ 비율을 조사했다.

수원시 기상수집 지역 반경 500m 내 그린인프라와 그레이인프라 비율

수원시 기상수집 지역 반경 500m 내 그린인프라와 그레이인프라 비율

그린인프라는 공원이나 수역, 산림 등 생태계 기능의 회복을 목표로 만들어진 자연적인 공간이나 자연에 가까운 기반시설을 뜻한다. 그레이인프라는 그린인프라의 반대 개념이다. 도로, 철도, 상업지구 등이 그레이인프라에 속한다. 계절은 일주일간의 최저기온과 평균기온, 최고기온을 모두 합한 것의 평균값이 일정한 기준점(여름의 경우 60도)에 도달할 때를 기준으로 나눴다.

이런 방식으로 산정한 수원시 11개 측정소의 계절별 길이는 봄 72일, 여름 134일, 가을 52일, 겨울 107일이었다. 특히 여름의 길이는 그레이인프라 비율이 높은 곳에서 길었고, 그린인프라 비율이 높은 곳에서 짧은 특성을 뚜렷하게 보였다. 그레이인프라 비율이 92.7%로 측정소 중 가장 높은 수원시청은 여름으로 분류되는 날이 157일로 나타났다. 반면 그린인프라 비율이 93%로 가장 높은 상광교동은 여름 길이가 100일이었다. 같은 도시 안에서도 여름 길이가 57일이나 차이나는 것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그레이인프라 면적은 여름의 기간과 평균온도, 열대야 일수, 연평균기온 증가와 관계가 깊었고, 그린인프라 면적은 봄과 가을 길이가 늘어나는 현상과 관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특히 직선거리로 1㎞도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도 그린인프라 비율에 따라 계절 길이가 차이났다. 같은 인계동에 있고 직선거리로 약 820m 떨어진 수원시청과 효원공원은 그린 인프라 면적 비율이 각각 7.3%와 15.2%로 달랐는데, 두 지점의 여름 길이는 각각 157일과 138일로 19일 차이가 났다. 도심공간을 계획할 때 그린인프라를 적극 활용하면 더위를 쫓는 데 도움이 된다는 뜻이다.

이종천 국립환경과학원 자연환경연구과장은 “그린인프라는 시민의 삶의 질, 대기오염 정화에 기여할 뿐 아니라 기후변화의 효과적인 대응방안이 될 수 있다”며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그린 인프라 활용 비율을 높여 도시의 열 쾌적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