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앞 4·19 첫 발포 현장에 ‘바닥 동판’

2018.04.16 15:54 입력 2018.04.16 21:04 수정

국가폭력에 시민저항 상징…분수광장 보도에 설치

청와대 영빈관 맞은편 분수광장 바닥에 4·19혁명 당시 시민을 향한 국가권력의 첫 발포가 있었던 곳임을 알리는 ‘인권현장 바닥 동판’이 설치됐다. 김창길 기자

청와대 영빈관 맞은편 분수광장 바닥에 4·19혁명 당시 시민을 향한 국가권력의 첫 발포가 있었던 곳임을 알리는 ‘인권현장 바닥 동판’이 설치됐다. 김창길 기자

4·19혁명 58주년을 맞아 당시 시민을 향해 첫 발포가 있었던 서울 종로구 청와대 앞에 이를 알리는 바닥 동판이 설치됐다. 서울시는 청와대 영빈관 맞은편 분수광장 바닥에 이곳이 ‘인권현장’이었음을 알리는 바닥 동판을 설치했다고 16일 밝혔다. 동판은 국가폭력에 대한 저항을 상징하는 역삼각형(가로·세로 35㎝) 형태를 하고 있다.

이곳은 1960년 4월19일 화요일 오후 1시40분 경무대(지금의 청와대) 앞으로 몰려든 시민들을 향해 국가권력의 첫 발포가 있었던 현장이다.

이날 총격은 4월18일 3·15 부정선거에 항의하던 고려대 학생들의 피습 사건에 분노한 대학생들과 중·고등학생, 시민들이 총궐기해 이승만 전 대통령이 머물던 경무대로 가기 위해 경찰과 대치하는 과정에서 벌어졌다. 이날 발포로 시민 21명이 죽고 172명이 다쳤다. 사망자 중에는 초등학생도 포함돼 있었다. 서울시는 “2015년부터 근현대 흐름 속에서 인권 탄압이 벌어지고 이에 맞서 인권을 수호한 현장에 바닥 동판을 설치하고 인권의 가치를 되새기는 ‘인권현장 포석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인권현장 바닥 동판은 시민 저항과 국가폭력, 제도 내 폭력 등으로 나눠 각각 원형과 역삼각형, 사각형으로 디자인됐다”고 설명했다.

인권현장 바닥 동판은 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4·18 선언’이 있었던 안암동 현장, 호주제·동성동본 혼인금지 제도 폐지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한국가정법률상담소’, 6·10 민주항쟁의 기폭제가 된 고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장소인 ‘남영동 대공분실 터’, 민주화운동 당시 단일사건으로 가장 많은 학생(1288명)이 구속된 ‘10·28 건대 항쟁’ 자리 등에도 설치됐다. 서울시내에 설치된 인권현장 바닥 동판은 청와대 앞 분수광장 바닥에 설치된 것을 포함하면 총 46개다.

서울시는 인권현장을 시민들이 쉽고 친근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도보 탐방길’도 개발해 운영 중이다. 지난해 9월부터 운영 중인 4개 코스에 이어 올해 2개 탐방길을 추가로 운영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그동안 잘 알지 못했던 인권현장에 얽힌 과거와 아프지만 기억해야 하는 역사에 대해 다시 한번 관심을 갖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