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읽음

분단 이후 남북회담 총 655회…노무현 정부 최다 기록

2018.04.17 09:57 입력 2018.04.17 11:24 수정

분단 이후 남북한은 회담 총 655차례, 합의서 총 245건을 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회담 횟수는 노무현 정부가 가장 많았고 이명박 정부가 가장 적었다. 통일부는 17일 ‘2018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명의로 배포한 ‘남북회담 약사 및 판문점 현황 자료’에서 이같이 밝혔다.

4·27일 남북정상회담 장소인 판문점 남측 지역 평화의 집 전경.

4·27일 남북정상회담 장소인 판문점 남측 지역 평화의 집 전경.

남북회담 분야별 현황에 따르면 총 655차례 중 정치 분야가 262회로 가장 많았다. 인도 153회, 경제 132회, 사회문화 59회, 군사 49회 순이었다.

시기별 정치사회 상황도 달랐다. 1971년 8월 대한적십자사의 적십자회담 제의로 남북대화가 시작된 1970년대는 72년 ‘7·4 남북공동성명’이 채택되고 남북조절위원회 회의가 개최되는 등 남북은 치열한 대결구도 속에서도 대화했다.

1980년대는 84년 9월 북측이 남측의 홍수 피해 지원을 계기로 개최된 남북적십자회담이 주요 회담이었다. 이듬해인 85년 9월 이산가족 고향방문단 및 예술공연단 상호 방문이 실시됐다.

1990년대는 남북고위급회담을 통해 남북기본합의서 및 한반도비핵화 공동선언 채택이라는 성과를 끌어냈다. 특히 남북은 분단 이후 처음으로 94년 남북정상회담에 합의했지만 그해 7월 김일성 주석 사망으로 무산됐다.

2000년대는 두 차례(2000년과 2007년) 정상회담을 통해 6·15 공동선언과 10·4 정상선언을 도출했다. 통일부는 “정상회담 합의사항 이행을 위해 남북총리회담, 남북장관급회담, 남북국방장관회담 등 분야별 회담이 추진됐다”고 설명했다.

2008년 이후 보수정부 시기는 북한의 지속적인 핵·미사일 개발, 천안함 폭침 등으로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대화도 제한적으로 개최됐다. 통일부는 2015년 8월 남북고위당국자접촉을 통해 8·25 합의를 도출하고 북측의 비무장지대 지뢰도발로 인한 군사적 긴장을 해소한 것을 성과로 평가했다.

정부 성격에 따라 회담 개최 현황도 차이점이 뚜렷했다. 노태우 정부(1988.2~1993.2) 시기에는 노무현 정부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164차례 회담이 열렸다. 김영삼 정부(1993.2~1998.2) 때는 27차례, 김대중 정부(1998.2~2003.2)는 87차례 개최됐다. 노무현 정부(2003.2~2008.2) 시기엔 가장 많은 169차례의 남북회담이 진행됐지만 이명박 정부(2008.3~2013.2) 들어 16차례로 급감했고 박근혜 정부(2013.2~2017.5) 때는 37차례를 기록했다.

문재인 정부는 지난해 5월 출범 이후 이날까지 12차례 회담이 진행됐고 앞으로 회담 횟수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는 18일 남북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의전·경호·보도 실무회담을 판문점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