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최고의 ‘순간포착 캡처’

2018.04.17 21:22 입력 2018.04.19 10:54 수정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조선 최고의 ‘순간포착 캡처’

흔히 풍속도의 계보는 김홍도(1745~?)-신윤복(1758~?)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사이에 또 한 사람의 대가가 있었다는 사실을 잘 모른다. 김홍도보다는 9살 아래, 신윤복보다는 4살 위인 긍재 김득신(1754~1822)이다. 전형적인 ‘낀 세대’다. 더욱이 주제와 소재가 김홍도를 빼닮았다는 이유로 ‘김홍도 따라쟁이’ 소리를 들어야 했다.

그러나 김득신은 큰아버지와 동생, 아들, 손자, 동생의 아들과 손자, 외가 등에서 5대 20여명의 화가를 배출한 개성 김씨 출신이다. 시쳇말로 조선시대 ‘팀킴’ 화가가문이다. 정조(재위 1776~1800)는 “김홍도와 김득신은 백중(伯仲)한 화가”라 평가했다. 특히 ‘파적도(破寂圖)’는 18~19세기 조선의 시골집에서 벌어진 일대 사건을 순간포착해서 ‘짤’로 남긴 캡처사진이라 할 수 있다. 들고양이가 병아리를 채가자 어미닭이 날갯죽지를 한껏 편 채 달려든다. 나머지 병아리는 혼비백산 흩어진다. 어미닭의 핏발 선 눈은 위기에 빠진 새끼를 위해서는 죽음도 불사하겠다는 모성애를 상징한다. 주인남자는 툇마루에서 돗자리를 짜다 말고 긴 담뱃대를 뻗어 후려치지만 역부족이다. 탕건이 벗겨지고 돗자리틀과 재료가 나뒹굴고, 자신도 속절없이 고꾸라진다. 부인은 떨어지는 남편을 붙잡으려 맨발로 뛰쳐나가지만 역불급이다. 그 숨막히는 순간을 귀신같이 잡은 캡처영상이다. 김득신의 ‘대장간’은 김홍도의 ‘대장간’을 모방했다지만 자세히 보면 ‘맛’이 다르다. 특히 집게로 쇳덩이를 잡고 있는 대장장이의 시선이 화가를 향하고 있다. 마치 거리에서 카메라 셔터를 누르는 사진작가를 쳐다보는 모습 같다. 김홍도의 ‘대장간’에서는 볼 수 없는 현장감이다. 김득신의 ‘반상도(양반과 상민)’는 당대 신분사회를 향한 ‘반어법의 풍자’라 할 수 있다. 길에서 양반을 만난 상민 남편이 코가 땅에 닿을 듯 90도 이상 고개를 숙이고 있다. 오히려 견고한 신분질서에 대한 통렬한 ‘주먹감자’가 아니었을까.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블로그’

사실 김득신은 윤두서·조영석·김두량 등 선배 화가들에게도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김득신의 모방은 탐구정신이었다. 그 부단한 탐구를 통해 ‘파적도’와 ‘대장간’ ‘반상도’ 같은, 200년 뒤인 21세기에 꼭 맞는 순간포착 캡처를 그린 것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