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병원 확진자 90명 중 40명 ‘메르스 환자 접촉’ 파악 안 했다

2016.01.14 22:06 입력 2016.01.14 22:10 수정

안이한 대응·조치 부실 확인…감사원 “삼성병원도 제재”

지난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유행 당시 국회와 언론이 방역당국에 제기했던 각종 부실 대응 의혹은 감사원 감사 결과 모두 사실로 확인됐다.

방역당국은 최초 의심환자가 발생했다는 보건소 신고를 받고도 ‘신고 철회’를 종용하다가 34시간 후에나 검사를 실시했고, 삼성서울병원이 역학조사에 협조하지 않는데도 강경히 대응하지 않아 추가 확산을 방지할 기회를 놓쳤다.

삼성서울병원에서 감염된 메르스 확진자 90명 중 절반에 가까운 40명은 당국의 격리관찰망에 포함되지 않은 상태에서 확진된 것으로 밝혀졌다.

감사원은 14일 ‘메르스 예방 및 대응실태’ 감사 결과를 발표하고, 질병관리본부가 지난해 5월18일 보건소를 통해 메르스 의심환자(최초 환자) 발생 사실을 신고받고도 임의로 진단검사를 거부했다고 밝혔다. 이 환자가 방문했던 바레인이 메르스 발생 국가가 아니라는 게 이유였다. 그 결과 최초 환자의 검체는 첫 신고가 이뤄진 지 34시간이 지난 후에야 검사실로 들어가게 됐다.

질병관리본부는 또 최초 환자가 병실 밖에서 여러 사람과 접촉한 사실을 병원 폐쇄회로(CC)TV 등을 통해 확인하고도 메르스의 전염력을 과소 평가해 최초 환자와 같은 병실의 접촉자만 격리했다. 그 결과 최초 환자와 같은 병동에 있었던 14번째 환자 등이 관리 대상에서 누락된 채 삼성서울병원 등으로 이동해 대규모 3차 감염자가 발생했다.

■“병원명 공개 늦춘 정부 잘못”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이하 대책본부)는 ‘최초 환자의 밀접 접촉자 20명’으로 정해놓은 초기 방역망이 지난해 5월 말 뚫렸는데도 병원명 공개 등 적극적 방역조치는 6월7일에야 실시했다.

또 지난해 5월31일 삼성서울병원으로부터 14번째 환자의 접촉자 명단 일부(117명)를 제출받고도 업무 혼선으로 즉시 격리 등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병원이 나머지 접촉자 561명의 명단을 제출하지 않는데도 현장 상황을 파악하지 못한 채 6월2일에야 전체 명단을 확보하고, 6월7일이 돼서야 시·도 보건소에 명단을 넘겼다. 감사원은 “14번째 환자 접촉자에 대한 후속 조치가 7일간 지연돼 추가 확산 방지 기회를 잃었다”고 밝혔다.

특히 대책본부는 병원이 제출한 명단에 보호자 등이 누락돼 있는데도 접촉자 추적조사를 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삼성서울병원 확진자 90명 중 40명이 접촉자로 파악조차 되지 않은 상태에서 확진됐고 이 중 6명은 사망했다.

■“삼성서울병원도 제재해야”

감사원은 당시 역학조사에 비협조적이었던 삼성서울병원에도 적정한 제재조치를 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삼성서울병원은 최초 환자가 평택성모병원을 경유한 사실을 알면서도 병원 내 의료진과 이를 공유하지 않았다. 그 결과 이 병원 의료진은 평택성모병원을 다녀온 14번째 환자를 응급실에서 진료했고 이는 대규모 감염자 발생으로 이어졌다.

삼성서울병원은 14번째 환자의 접촉자 678명의 명단을 지난해 5월31일 작성했으나 당일엔 117명의 명단만 제출하고 나머지는 6월2일에야 제출했다.

감사원은 대책본부가 삼성서울병원 의사인 35번째 환자의 확진 판정을 지난해 6월1일 오후 11시쯤 보고받고도 이를 즉각 공개하지 않았다는 점도 지적했다. 대책본부는 6월4일에야 35번째 환자의 확진일자를 1일이 아닌 4일이라고 언론에 발표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