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읽음
기고

청소년에게 북한은 동포임을 가르쳐야 한다

2017.08.24 20:56 입력 2017.08.24 21:02 수정
한만길 흥사단 교육운동본부 상임대표

[기고]청소년에게 북한은 동포임을 가르쳐야 한다

통일을 꿈꾸게 하는 8월인데, 정작 북한은 우리에게 ‘적’일 뿐이고 통일은 멀어져 가는 현실이 안타깝기만 하다. 우리 청소년들이 북한 하면 핵실험, 미사일 발사, 아니면 세습독재, 인권탄압, 굶주림을 연상하는 것은 기성세대와 마찬가지다. 남북 간의 군사적 대결구도는 현실이기도 하다.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 발사에 맞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대북제재 결의안을 통하여 북한 수출의 3분의 1을 웃도는 광산물, 수산물 수출을 금지했다. 이런 상황에서 청소년들에게 통일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지난 보수정권 9년 동안 통일교육이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안보교육에 치중했다. 이른바 통일교육에서 북한을 세습독재체제, 폐쇄사회 등으로 부정적으로 부각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북한 주민들은 경제난과 굶주림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그 불만이 언젠가는 시위와 폭동으로 비화하거나, 아니면 쿠데타로 북한 정권은 붕괴할 것이라는 가정으로 결국 ‘흡수통일’, ‘통일대박’이란 환상을 낳게 했다. 이것이 지난 정권의 통일논리이고 많은 국민들의 북한관, 통일관이 이렇게 형성되었다.

2016년도 통일부의 통일교육지침서를 보면 북한사회의 변화, 그리고 남북한 교류와 협력의 중요성을 외면하고 있다. 이는 2007년 통일교육지침서에서 서술한 북한을 우리와 동반자로서 인식하고 화해와 협력의 대상으로 접근하던 방식과 상반되고 있다. 또한 우리의 공식적인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에 기초하여 화해협력 단계를 출발로 하는 우리의 통일정책을 사문화하고 있다. 그리하여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 교류협력의 수많은 사례와 성과는 생략한 채, 통일준비 또는 통일 미래상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였다. 통일교육지침서에서 통일을 실현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남북관계를 어떻게 풀어갈 것인지,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통일을 실현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통일안보교육은 결과적으로 통일에 대한 회의감, 막연한 환상을 심어주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의 2016년 말 조사결과에 따르면 통일의 필요성을 인정한 비율은 전체 세대에 걸쳐 2007년에는 63.8%로 나타났는데 2016년에는 53.4%로 낮아졌다. 특히 20대의 경우 2007년에는 통일 필요성을 53.3%가 인정하였는데 2016년에는 36.7%만이 인정하여 다른 세대에 비해서 크게 낮아졌다. 또한 북한을 지원과 협력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전체적으로 2007년에는 78.4%인 데 비해서 2016년에는 60.3%로 떨어지고, 특히 20대는 78.5%에서 43.1%로 다른 세대에 비해서 더욱 크게 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젊은 세대로 갈수록 통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아지고 북한에 대한 경계심과 적대감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지난 9년 동안 경색된 남북관계의 영향이며, 우리의 대북정책, 통일교육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지난 2009 교육과정에 이어 2015 교육과정에서 통일교육 내용은 전반적으로 축소되었다.일선학교 교사들은 ‘사실상 통일교육이 사라졌다 해도 무방할 정도로 심각하다’고 걱정한다.

남북 간의 군사적 대결구도가 강화되는 ‘현실’에서도 청소년들에게 평화통일에 대한 ‘이상’을 잊지 않도록 가르쳐야 한다. 북한 독재자와는 달리 북한 주민들은 우리 동포로서 포용하면서, 그들과 공동번영을 추구하는 것이 평화와 통일을 위해 우리가 갈 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청소년에게 북한은 적이 아니라 우리 동포임을 잊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기본 정신이고 그 첫 단계인 화해협력의 원칙에 부합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