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꽁수’와 ‘꼼수’

2013.12.25 20:52

“이런 꽁수는 나한테 안 통해.”

꽁수는 ‘원래는 안되는 수지만 상대를 속이거나 상대의 실수를 유도하기 위해 만드는 수’라는 뜻으로 바둑 둘 때 많이 쓰는 말이다. 주로 ‘쩨쩨한 수단이나 방법’을 일컫는 의미로 쓴다.

하지만 ‘꽁수’에는 그런 의미가 없다. 사실 요즘은 일상생활에서 ‘꽁수’란 말을 쓸 일이 거의 없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꽁수’를 찾아보면 ‘연의 방구멍 밑의 부분’으로 나온다. 지금은 잘 볼 수 없지만 하늘로 높이 날리는 연(鳶)의 방구멍(연의 한복판에 둥글게 뚫은 구멍) 밑의 부분이 바로 ‘꽁수’다.

‘쩨쩨한 수단이나 방법’을 가리키는 말은 ‘꽁수’가 아니라 ‘꼼수’다. “나이도 어린 사람이 벌써부터 꽁수나 부리고” “이제는 알 만큼 알아서 그런 꽁수와 공갈에 안 넘어간대”는 “나이도 어린 사람이 벌써부터 꼼수나 부리고” “이제는 알 만큼 알아서 그런 꼼수와 공갈에 안 넘어간대”로 말해야 바른 표현이 된다.

한 해가 저물어 간다. 얼마 남지 않은 올 한 해도 마무리 잘하고 새로운 출발에 대한 희망과 설렘으로 가득한 새해를 맞이하길 바란다.

그리고 2014년에는 자신의 목적을 위해 꼼수 부리는 사람보단 자기 자리에서 열심히 일하는 이들이 대접받는 해가 되기를 기원해본다.

주요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