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광주 분들께 굉장히 죄송”…‘국보위 경력’ 첫 사과

2016.01.27 22:45 입력 2016.01.27 23:26 수정

더민주 비대위 7명 체제로…비대위원 배제 이종걸 반발

더불어민주당이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에 돌입했다.

더민주는 27일 국회에서 열린 중앙위원회에서 비대위를 새 지도부로 구성하는 당헌 개정안을 의결했다. 위원장은 김종인 선대위원장이 맡고, 박영선·변재일·우윤근 의원과 이용섭 전 의원,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 김병관 웹젠 이사회 의장 등이 위원으로 합류했다. 호남을 배려한 구성이다.

‘김종인 비대위’는 4·13 총선 승리를 위한 지도부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김 위원장은 중앙위에서 “선대위원장을 맡은 지난 2주간 하루 1점씩 회복하고 있다”며 “아직 낙제점이라 해도 77일 남은 총선까지 하루 1점씩 전진하면 승리만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진 기자간담회에서 전두환 신군부의 국보위(국가보위비상대책위) 참여 논란에 대해 “광주 분들께 굉장히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1일 1점 획득’의 관건인 호남 민심에 고개 숙인 것이다.

비대위 과제로는 공천 룰 문제가 시급하다. 이는 외부인사 영입과도 맞물려 있다. 현역 기득권(당선 가능성)과 신인 등용(쇄신 공천)이라는 갈등이 상존한다. 문재인 대표는 ‘상향식 공천안’ 관철을 강조했지만, 김 비대위원장은 수정 가능성을 열어뒀다.

야권 연대도 난제다. 야권은 “여당에 어부지리를 줘선 안된다”는 원론만 공유할 뿐이다. ‘총선 승리’를 위한 협력 밑그림조차 없다.

김 위원장은 “야권 연대는 나중 문제”라는 입장이 확고하다. 그러나 ‘1여다(多)야=필패’라는 위기감이 갈수록 커지면서 전략 변경도 배제할 수 없다.

이종걸 원내대표 측은 비대위 구성 배제에 대해 당직 사퇴까지 언급하며 반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많이 본 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