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 주는 ‘차별의 언어’ 이제 멈춰요

2019.10.21 15:24

왜요, 그 말이 어때서요?

김청연 지음 / 동녘 / 2019년 / 1만3000원

상처 주는 ‘차별의 언어’ 이제 멈춰요

○○충, 명품 몸매, 다문화, 결손가정, 벙어리장갑, 지잡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무심히 내뱉는 말 가운데 일부다. 익숙한 용어들이지만 속뜻을 살펴보면 차별과 편견이 숨어 있다. 이 사실을 깨닫는 순간, 참 불편하다. 평소 습관처럼 표현하고 있지만 누군가에게는 칼이 되어 상처로 남는다. 별 생각 없이 던진 ‘칼날같이’ 표현이 내 가족, 내 친구에게도 향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아찔하다.

일간지 교육담당 기자인 저자가 그동안 문제의식을 갖고 메모해 온 차별의 말들을 풀어나간다. ‘뭔가 어색한데?’ ‘어디서부터 시작된 말이지?’ ‘정말 써도 되는 표현인가?’ 등 궁금증과 고민을 갖고 출발하고 있다. 책에서는 나이, 장애·인종, 경제 조건·지역, 학력·학벌·직업, 성별 등의 사례를 바탕으로 4개의 장으로 나눠 살피고 있다.

“어휴, 이런 것까지 신경을 써 가면서 말하려고 하면 머리 아파서 어떻게 살아요?” 이렇게 예민하게 따지는 것은 피곤할 수 있다. 그래서 별것 아니라고 여기고 쉽게 말하고 행동하다보면 왜 문제가 되는지 둔감해진다. 그렇다고 상대를 배려하지 못하는 차별의 언행이 정당화되지는 않는다.

저자에 따르면 “차별어는 고정관념+편견+혐오+습관이 결합되어 탄생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차별어를 줄이려면 아무리 익숙한 표현일지라도 그 말을 듣는 상대방의 입장부터 생각해 보는 ‘배려하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이 책은 우리 주변에서 자주 쓰이는 차별의 언어 사례와 함께 그림작가의 네 컷 만화로 상황을 명료하고 재치 있게 그려내고 있어 읽는 즐거움을 더한다.

많이 본 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