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29일 "내 나이가 어때서?" 여전히 일하고 싶은데…

2021.04.29 00:00 입력 2021.05.03 14:47 수정

1961년부터 2011년까지 10년마다 경향신문의 같은 날 보도를 살펴보는 코너입니다. 매일 업데이트합니다.

2019년 서울 마포구청에서 열린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통합모집 행사에 참가한 어르신들이 취업신청서를 작성하고 있다. 연합뉴스

2019년 서울 마포구청에서 열린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통합모집 행사에 참가한 어르신들이 취업신청서를 작성하고 있다. 연합뉴스

■1991년 4월29일 노인취업, 가족 몰이해도 ‘벽’

‘100세 시대’라는 말, 더 이상 호들갑이 아닙니다.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평균 수명이 늘어난데다가 고령화도 갈수록 심화하고 있죠. 한국경제연구원 자료를 보면 한국의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중은 지난해 15.7%입니다. 20년 뒤엔 이 비중이 33.4%까지 늘어나 인구 세 명 중 한 명이 노인이 된다고 합니다.

노인 인구가 증가하는 만큼 ‘노년의 삶’을 풍족하게 만들기 위한 사회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정년 연장, 노인 일자리, 노인 복지 같은 제도들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죠. 1991년 대한민국도 같은 문제를 고민했습니다. 30년 전 이날 경향신문은 취업을 원하는 노인들이 부딪히는 벽을 조명했습니다.

1991년 4월29일 경향신문

1991년 4월29일 경향신문

기사는 ‘노인 취업정보 은빚전화’라는 단체가 집계한 노인취업알선 실적을 전하고 있습니다. 자료를 보면 취업 희망자는 920명에 일자리 제공자는 644명이었지만, 정작 실제 취업률은 16.7%인 108건에 불과했다고 합니다.

기사는 노인 취업률이 낮은 이유를 “일반인들의 인식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일반인들의 인식 부족이라니, 무슨 뜻일까요? 첫째로 노인들이 가장 원하는 ‘깨끗한 노동환경’을 제공하는 일자리가 거의 없었다고 합니다. 노인들에게 제공되는 일자리는 직종이 너무 단순하거나 한정적이고, 저임금인 경우가 많아 어려움을 겪었다네요.

통계를 보면 당시 노인들의 직종 선호도는 건물·아파트 경비가 22.1%, 창고자재관리가 20.5%, 사무직이 19.5%, 단순노동이 18.6% 등이었습니다. 하지만 실제 취업된 직종은 단순노동이 55.5%, 건물·아파트 경비가 12.0%, 청소가 6.4%, 사무직이 5.5% 정도였습니다.

김상민 기자

김상민 기자

가족 안에서의 ‘체면’ 문제도 걸려 있었습니다. 반드시 자녀 동의서를 받아야 하는 등 까다로운 조건들이 많았을 뿐더러, 노인 구직자 입장에서도 기왕이면 고급 일자리를 희망하기 마련이죠. 또 “뭐가 아쉬워서 직장에 나가느냐”는 가족들의 만류도 걸림돌이 됐다고 합니다.

노인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도 나름의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당시 서울시는 이른바 ‘할아버지 사회봉사활동’ 사업을 서울 전체로 확대할 계획을 갖고 있었습니다. 노인들이 남는 시간을 지역봉사에 활용하고 용돈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었는데요. 하는 일로는 청소년 선도, 자연보호, 거리질서활동, 학교 앞 교통정리 등이 있었습니다. 퇴직 교사들이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문이나 바느질을 가르치는 활동도 있었다고 합니다.

최근 정부도 노인을 대상으로 공공일자리 사업을 크게 벌였습니다. 실제로 노년층에서 취업자 수가 증가하는 등 효과를 봤습니다. 그러나 임시직 비중이 높고, 사업 종료에 큰 영향을 받는 등 불안정한 일자리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시민사회에서는 노인들의 불안한 노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노년아르바이트노조’를 준비하고 있기도 합니다. 초고령사회를 향해 달려가는 한국, ‘행복한 노후’를 사회가 보장해줄 수 있도록 더 노력해야겠습니다.

많이 본 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