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1년부터 2011년까지 10년마다 경향신문의 같은 날 보도를 살펴보는 코너입니다. 매일 업데이트합니다.
■2001년 5월1일 ‘올 교통사고 31%나 줄었다’
20년 전인 2001년 경향신문에는 ‘올 교통사고 31%나 줄었다’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습니다. 그해 4월25일 현재 집계된 교통사고 사망자가 전년도에 비해 크게 줄었다는 내용의 기사였습니다. 당시 기사를 아래에 옮겨보겠습니다.
올 들어 교통사고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경찰청은 올해 들어 지난 25일까지 교통사고를 잠정 집계한 결과 사망자가 모두 2361명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3230명)에 비해 26.9% 줄었다고 30일 발표했다. 사고 발생 건수도 지난해 이 기간의 9만303건에서 올해 6만2644건으로 30.6% 줄었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가 계속될 경우 올해의 감소율은 사상 최대가 될 전망이다. 이제까지 연간 감소율이 가장 높았던 해는 1997∼1998년으로 사고가 2.7%, 사망자 수는 21.9%씩 줄었다. 우리나라의 교통사고는 1970년 이후 지난해까지 매년 평균 발생건수는 7.1%, 사망자 수는 4.1%씩 증가해왔다.
올해의 월별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1월 25.2% ▲2월 26.3% ▲3월 23.6% ▲4월 32.7% 등으로 줄었다. 경찰 관계자는 “무인 단속장비 확충, 신고 보상제 실시(3월10일 이후), 안전띠 단속(4월2일 이후), 비노출 단속(4월20일 이후) 등 경찰의 강력한 의지로 사고가 급감했다”고 분석했다. 경찰은 특히 “1∼2월의 경우 폭설로 차량운전 횟수가 줄어 사고가 감소한 측면이 있으나 4월 사망자 수의 감소가 평균보다 훨씬 높은 것은 안전띠 단속을 실시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물론 경기 침체로 도시의 교통량이 줄어든 것도 한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20년 전 기사에서 보듯 당시 국내의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채 4개월도 안 되는 기간에 2000명이 넘을 정도로 많았었습니다. 2361명이라는 숫자가 전년보다 크게 줄어든 수치일 정도로 교통사고 사망자가 많이 발생했던 것입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00년 기준으로 인구 100만명당 교통사고 사망자가 200명이 넘는 것은 한국뿐이었습니다.
그러던 것이 기사에 나온 것처럼 2001년 크게 줄어들었고, 현재까지 계속해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01년 당시 교통사고 사망자는 8097명으로 집계됐고, 2002년에는 7090명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교통사고 사망자가 증가 추세를 보였뎐 1998~2000년에 비하면 크게 줄어든 수치였습니다. 1998년 국내의 교통사고 사망자는 9057명이었고, 1999년 9353명, 2000년 1만236명으로 늘어난 바 있습니다.
이후로도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크게 줄어들었지만 한국은 여전히 OECD 내에서 인구 100만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1, 2위를 다투는 나라로 꼽혀왔습니다. 2014년 OECD가 발표한 통계를 보면 2011년 기준으로 한국의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인구 100만명당 105명에 달했습니다. 폴란드(109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치였습니다.
그렇다면 현재의 교통사고 사망자는 어느 정도 수치일까요. 경찰청이 지난 2월 발표한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는 3079명이었습니다. 이는 전년도인 2019년 3349명보다 270명 줄어든 수치입니다. 하루 평균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이의 수는 8.4명이었습니다. 20년 전과 비교하면 크게 줄어든 수치이지만 여전히 너무 많은 이들이 교통사고로 허망하게 목숨을 잃고 있는 것입니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줄이기 위해 정부는 지난 17일부터 도심 최대속도를 시속 50㎞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도심부와 이면도로 최대속도를 각각 시속 50㎞, 30㎞로 낮추는 ‘안전속도 5030’ 제도를 시범도입한 지역에서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37.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지난 15일 밝힌 바 있습니다. 서울 4대문 안에서 발생한 보행자 교통사고 중상자 수도 30% 줄어들었습니다.
교통 정체를 우려하는 지적도 있었지만 실제 대도시 주행실험에서 나타난 통행시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습니다. 도심부 최대속도를 시속 50㎞로 줄인 12개 도시의 통행시간은 평균 구간 길이(13.4㎞) 기준 약 2분 늘어나는 데 그쳤던 것입니다. 교통정체에 따른 대중교통 요금 변동을 조사한 부산에서는 평균 구간(8.45㎞) 기준 택시요금이 평균 105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행 3주차를 맞은 5030 제도가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줄이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한상진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경향신문에 기고한 글의 마지막 부분으로 기사를 맺겠습니다.
안전속도 5030정책은 도로의 주인이 누구인지 질문한다. 차인가? 사람인가? 사람이 죽어 나가는 걸 알면서도 차만 위할 수는 없다. 차에 치인 사람이 운이 없거나 뭔가 실수를 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일이 아니다. 누구든 차에서 내리면 보행자가 된다. 우리 모두 운이 없거나 실수를 할 수 있는 사람임을 기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