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중국산 배추 1100t 수입…배춧값, 10월 중 안정될 것”

2024.09.30 15:50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30일 정부세종청사 농식품부에서 열린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30일 정부세종청사 농식품부에서 열린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30일 “중국산 배추 1100t을 들여올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배추 공급을 늘리기 위해 신선배추 수입과 조기출하 장려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농식품부는 지난주 중국산 배추 초도물량 16t을 들여온 데 이어 이번주 100t을 수입하고, 앞으로 매주 200t씩 들여오는 방식으로 약 1100t을 수입할 계획이다.

다만 수입량은 국내 배추 수급 상황에 달라질 수 있다. 송 장관은 “우리 상황이 호전되면 계획한 물량을 다 들여오지 않고 수입을 중단할 수 있다”며 “우리 배추 생육이 좋아져서 시장에서 소비되는 것을 원한다”고 말했다.

송 장관은 또 중국산 배추의 위생 문제에 대해 “밭에서 뽑아 온 신선 배추를 검역하면서 위생 검사를 한다”며 “비축기지에선 희망하는 업체에 대해 배추를 볼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입된 중국산 배추는 위생검사와 검역 절차를 거쳐 정부 창고에 입고된 후 품위 검사를 거쳐 시장에 풀린다. 공급처는 가정용이 아닌 식자재업체, 외식업체, 수출용 김치업체 등이다.

송 장관은 ‘일반 소비자에게도 중국산 배추가 공급될 가능성이 있냐’는 질문에 “만일 상황이 나빠져서 준고랭지 배추가 너무 비싸다거나,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고 하면 상황을 보고 (판단) 할 수도 있겠다”고 답했다.

현재 배추는 9월 중순까지 이어진 고온으로 여름배추의 생육이 부진하면서, 김장배추가 본격 출하되는 11월 초까지 공급량 감소가 우려된다.

송 장관은 배춧값 전망에 대해 이번 주까지는 어려움이 이어질 것이라면서 “배추 가격과 물량이 다음 달(10월)부터 정상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기후변화에 따라 올해와 같은 배추 대란이 반복될 수 있다고 보고 연내 기후변화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많이 본 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