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심뇌혈관질환 위험이 높으며 이런 사회경제적 격차가 과거보다 근래 더 심해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건강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조덕규·노지웅·배성아 교수,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최동훈 교수 연구팀은 사회경제적 수준이 심뇌혈관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를 국제학술지 ‘글로벌 헬스 저널(Journal of Global Health)’에 게재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진은 2007~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30세 이상 64세 미만 경제활동인구 4만7745명의 소득과 교육수준에 따른 심뇌혈관질환의 유병률 변화를 조사했다.
연구결과, 낮은 소득과 교육수준은 심뇌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됐다. 특히 소득과 교육수준이 모두 낮은 집단은 이들 요건이 모두 높은 집단보다 심뇌혈관질환 유병률이 연구기간 12년간 일관되게 높았으며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커졌다. 2007~2010년 소득·교육수준 모두 높은 집단의 질환 유병률이 1.2%인 데 비해 모두 낮은 집단의 유병률은 6.3%로 두 집단 사이 유병률 차이가 5.1%포인트 수준이었으나, 2015~2018년에는 각각 1.3%, 6.7%를 기록해 격차는 5.4%포인트로 벌어졌다.
두 요인의 영향을 비교했을 땐 교육수준이 소득보다 심뇌혈관질환 유병률 상승에 좀더 영향을 미쳤다. 교육수준과 소득이 모두 낮은 집단에서 유병률이 가장 높았고, 이어서 교육수준이 낮고 소득은 높은 집단, 교육수준이 높으며 소득은 낮은 집단, 교육수준과 소득이 모두 높은 집단 순이었다. 이런 순위는 연구기간 내내 변하지 않고 유지됐다.
연구기간 동안 전체적인 심뇌혈관질환 유병률은 고령화와 도시화, 비만율 증가 같은 사회적 변화에도 큰 변동을 보이지는 않았다. 연구진은 이런 결과를 두고 건강검진 참여율 증가, 고혈압 및 이상지질혈증 치료율 향상, 흡연율 감소 등의 긍정적 요인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사회경제적 위치가 낮은 집단에서는 높은 유병률이 지속돼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건강 불평등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연구진은 이 연구에서 확인된 건강 격차 해소를 위해 관련된 보건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동훈 교수는 “한국 사회가 경제적으로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건강 격차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취약계층의 심뇌혈관질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밝혔다. 조덕규 교수도 “낮은 소득과 교육수준은 의료서비스 접근성뿐 아니라 건강에 대한 인식과 관리 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를 위해선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