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 ‘호중구성 천식’에 치료 효과··· 기능성 면역세포군 최초 발견

2024.10.25 12:57 입력 2024.10.25 14:00 수정


호중구성 천식의 과도한 염증반응을 줄일 수 있는 면역세포군을 발견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

호중구성 천식의 과도한 염증반응을 줄일 수 있는 면역세포군을 발견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


기존 천식치료제로는 낫기가 어려웠던 ‘호중구성 천식’에 효과를 보이는 치료법이 나왔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과학부 유지환 교수, 한승한 박사 등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천식의 염증반응을 낮추는 세포군을 발견한 연구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진은 호중구성 천식을 유발한 실험용 생쥐와 단일세포 RNA시퀀싱 분석을 통해 과도한 염증반응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는 면역세포군(CD39+CD9+ 대식세포)을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천식은 숨이 오가는 기도가 붓거나 좁아지면서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만성 염증성 폐질환이다. 보통 흡입 및 전신 스테로이드를 사용해 치료하는데, 호중구성 천식을 포함한 난치성 천식은 스테로이드를 고용량으로 투여해도 효과가 미미해 치료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호중구성 천식은 평소 혈류를 타고 순환하다 외부 물질이 체내에 들어왔을 때 빠르게 방어에 나서는 호중구가 과도할 정도로 활성되면서 더욱 악화된다.

이번 연구에서 발견한 면역세포군은 호중구성 천식이 발병하는 과정에서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IL-23 사이토카인과 Th17 염증세포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중구성 천식을 앓는 실험용 생쥐에게서 발견된 이 면역세포군의 수치는 1% 이하였으나, IL-23의 활성을 억제하는 항체를 주입했을 때는 5%까지 증가했다. 또 기관지 내 호중구 비율이 90%, Th17 세포는 80% 감소했다. 이어서 이 면역세포군을 주입한 뒤에는 호중구 비율이 62%, Th17 세포는 63% 각각 줄었다. 연구진은 이같은 수치 감소가 이번에 발견된 특정 면역세포군이 호중구성 천식을 완화시킨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밝혔다.

유지환 교수는 “이번 연구는 호중구성 천식의 발병 원인, 치료법 등 전반에 걸친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IL-23 활성 억제제와 특정 세포군(CD39+CD9+ 대식세포)을 통해 호중구성 천식을 비롯한 난치성 천식 환자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