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 교수와 초등학교 교사가 윤석열 대통령의 훈장을 거부한 데 이어 경기지역의 한 퇴직 교등학교 교사도 훈장 수여를 거부했던 사실이 확인됐다. 대통령 훈장 거부 사례가 하나씩 드러나면서 윤 대통령의 직인이 찍힌 훈장에 대한 거부감이 교육계 전반에 퍼져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31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올해 초까지 경기지역의 한 고등학교에서 재직 중이다가 명예퇴직한 전직 교사 A씨(60)는 훈·포장 수요조사에서 훈장 거부 의사를 밝혔다. 군복무기간까지 더해 33년의 경력을 인정받은 A씨는 대통령 훈·포장 수여 대상자였다.
A씨는 통화에서 “공직에 있으면서 국가로부터 상을 받는 것은 감격스럽고 자랑스러워 해야 되는 일”이라면서도 “가족들에게 상을 보여주고 싶은데도 거기에 윤석열이라는 이름이 찍히는 것 자체가 싫고 부끄러웠다. 지금 대통령이 하고 있는 일들을 보면 이게 정말 나라인가 싶다”고 말했다.
이어 “수령을 거부할 때 사유를 적는 란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거기에다가 (이런) 의견을 밝히려고 했다”면서 “하지만 사유를 적는 공간이 없어 그동안 따로 의견을 표명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주변의 다른 교사도 대통령 훈장을 거부했다’며 비슷한 사례가 더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A씨는 “저와 같은 시기에 퇴직한 다른 선생님 한 분도 비슷한 이유에서 훈장을 거부했다”며 “(윤 대통령 훈장 거부 관련) 언론 보도를 접하고 이게 ‘한두명의 일이 아닐 수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앞서 인천시교육청이 이달 초 퇴임을 앞둔 교사들을 상대로 훈·포장 수요조사를 실시한 바에 따르면 내년 2월 28일 퇴임하는 한 초등학교가 대통령 훈장을 거부했다. 지난 9월1일까지 퇴직한 교사 125명 중 중등교사 1명도 정부 포상을 거부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경기도교육청의 경우 교사들의 대통령 훈장 수여 현황에 대한 자료를 ‘따로 파악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사 개개인이 대통령 훈장을 받았는지, 안받았는지까지 일일히 파악하지는 않는다”라면서 “개인의 신청에 따라 받는 것이기 때문에 안받는다고 했다가 다시 받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고등교육계에서는 33년 이상 경력을 인정받아 근정훈장 수여 대상자인 국립 인천대학교 김 교수가 교육부에 제출할 공적 조서를 제출하지 않아 퇴임식에서 수여하는 대통령 훈장을 거부했다.
김 교수는 지난 28일 경향신문에 보낸 ‘이 훈장 자네나 가지게’라는 제목의 글에서 “정상적으로 나라를 대표할 가치와 자격이 없는 대통령에게 받고 싶지 않다”면서 “무릇 훈장이나 포상을 함에는 받는 사람도 자격이 있어야 하지만, 그 상을 수여하는 사람도 충분한 자격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