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EU는 ‘제약·바이오 의약품’ 공급망 강화…제2 반도체 꿈꾸는 ‘K바이오’ 대책은

2024.10.31 14:57 입력 2024.10.31 15:35 수정

미국·EU는 ‘제약·바이오 의약품’ 공급망 강화…제2 반도체 꿈꾸는 ‘K바이오’ 대책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이 ‘보건 안보’를 위해 제약·바이오의약품 공급망 강화를 추진하고 있어 한국도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31일 ‘주요국의 제약·바이오의약품 산업 공급망 재편 정책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EU 등 제약 선진국들은 원료의약품에 대한 높은 해외 의존도를 개선하기 위해 공급망 회복력 강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동안 의약품 생산의 공급망은 국가 간 분업 체계로 이뤄졌다. 고급 원천기술보다는 대량 생산이 필요한 원료의약품은 생산비용이 낮은 중국·인도가 담당하고, 연구·개발 및 완제 의약품 생산은 미국과 유럽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하지만 주요국들이 코로나19 시기 인적·물적자원 봉쇄 및 수출통제 등으로 중국·인도산 원료의약품 수급에 어려움을 겪자 안정적인 의약품 공급망 확보에 나서게 됐다.

2021년 미 행정부는 반도체·배터리·핵심광물과 함께 의약품을 4대 핵심 분야에 포함해 공급망을 점검했다. 그 결과 중국 등에 대한 높은 수입의존도가 미국 의약품 공급망의 가장 큰 리스크라는 결론을 내리고 미국 내 생산 확대, 핵심 의약품 재고 확보 등에 나섰다. 이와 함께 대중국 투자심사 강화, 중국 바이오 기업으로 개인정보 이전을 제한하는 ‘바이오안보법’ 추진 등 중국 관련 리스크 완화 정책을 본격화했다.

사진은 해당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연합뉴스

사진은 해당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연합뉴스

세계 2대 의약품 시장인 EU 역시 의약품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공급망을 다변화하기 위한 전략을 다수 발표하고 있다. EU는 의약품 부족 사태 대비를 위해 지난해 말 ‘핵심 의약품 목록’을 작성하고, 올해 1월 민관 공동 ‘핵심의약품연합’을 결성했다. 또 한국 등 주요 국가와 기술 연구, 기술이전·규제 및 시장 접근 관련 국제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한국 제약 분야는 반도체·배터리 산업에 비해 규모나 경쟁력 측면에서 선진국보다 열세인 만큼 각별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한국은 바이오시밀러(복제약)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바이오시밀러 규모는 미 식품의약국(FDA) 허가 기준 세계 2위(11개), 유럽의약품청(EMA) 허가 기준 세계 1위(14개)다. 그러나 미국·EU 등 제약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원료의약품에 대한 중국 및 인도산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지난해 등록원료의약품 점유율은 국내가 9.9%, 중국 22.6%, 인도 47.0%로 집계됐다.

한주희 한국무역협회 연구원은 “주요국의 공급망 재편 및 대중국 견제로 국내 위탁개발생산(CDMO) 업계의 수혜가 기대되면서도 원료의약품의 높은 중국산 의존도는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다”며 “주요국의 정책 모니터링 강화, 국내 바이오 공급망 점검, 의약품 국제협력 체계 공고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