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공무원들의 공직사회 이탈을 막기 위해 저연차 직원들에게 장기간의 휴가를 주는 지자체가 늘고 있다.
대구시는 ‘MZ세대’(1980~2000년대 초반 출생) 공무원의 퇴직 움직임을 막고 직원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조례를 통해 ‘저연차 공무원 장기재직휴가’를 시행한다고 31일 밝혔다. 5년 이상 10년 미만 근속한 공무원에게 장기재직휴가 10일을 추가로 주는 내용이다.
대구시는 젊은 세대 공무원들이 공직사회를 외면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 최근 노사협의회를 통해 이 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간 대구광역시 장기재직휴가의 경우 10년 넘게 일한 공무원에게만 부여돼 왔다.
기간별로 만 10~19년 재직 시 10일, 20~29년 20일, 30년 이상 20일 등 퇴직 때까지 최대 50일을 받을 수 있었다. 매년 1회에 한해 최대 10일 이내로 사용하도록 규정됐다.
이번 조치로 ‘5~9년’ 구간이 새롭게 생기면서 대구시의 모든 공무원은 10일간의 휴가를 추가로 받게 됐다. 기존 직원 역시 소급 적용받게 된 것이다.
MZ 공무원을 붙잡기 위한 노력은 전국 다른 지자체에서도 확인된다.
이날 대구시에 따르면, 올해 9월30일 현재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중 대구·울산·전북·전남을 제외한 13곳이 공무원 장기재직휴가의 ‘첫 기준’을 5년 이상으로 설정한 상태다. 이번에 대구시에서도 저연차 공무원에게 휴가를 추가로 부여하면서 남은 지자체는 3곳에 불과하다.
다만 휴가 일수에는 차이가 있다. 5년 이상 직원에게 10일간 휴가를 주는 지자체는 대구·인천·대전·강원 등 4곳이고, 나머지 10곳은 5일간의 휴가를 규정했다.
대구시는 젊은 공무원의 퇴직률이 증가하고 임용시험 지원율이 감소하는 등 공직에 대한 선호도가 낮아지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대구시의 절박함은 통계로도 드러난다.
대구시가 각 구·군을 포함해 1990년 이후 출생자의 임용 및 퇴직(의원면직) 인원을 파악한 결과, 2021년 679명 중 52명이 퇴직한 것으로 파악됐다.
2022년에는 552명이 임용된 후 50명이 공직을 떠났고, 지난해에도 438명 중 46명이 그만뒀다. 올해 역시 663명 가운데 61명이 공직사회를 떠났다. 이 기간동안 젊은 공무원 10명이 임용되면 1명(2332명 중 209명·약 9%)은 공직에 등을 돌린 셈이다.
공직에 문을 두드리는 인원도 갈수록 줄고 있다. 2022~2023년 대구광역시 지방공무원 임용 필기시험 연령별 통계를 보면, 20대 응시자는 7506명에서 4826명으로 35.7% 감소했다. 30대는 4107명에서 3256명으로 20.7% 줄었으며, 20대 미만도 62명에서 51명으로 17.7% 감소했다.
올해는 더 심각했다. 20대와 30대 응시자는 각각 752명과 1814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급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20대는 84.4%, 30대는 44.3% 각각 줄었다. 올해 20대 미만 응시자는 없었다.
대구시는 지난해 12월부터 ‘근무혁신 4대 과제’를 추진하는 등 젊은 공무원들을 붙잡기 위해 애쓰고 있다.
시는 인사철 떡을 돌리는 관행을 자제하도록 하고 휴가 및 유연근무 등 다양한 복무제도의 자유로운 사용도 권장하고 있다. 또 부서장의 지시와 일정에 맞춰 마지못해 참석하는 저녁 술자리 위주 회식에서 사전에 예고된 점심식사 위주의 회식으로 회식문화를 바꿔가는 ‘계획없는 회식 자제’도 시행 중이다.
안중곤 대구시 행정국장은 “이번 조례 개정으로 저연차 공무원들이 지친 심신을 재충전하고, 그 힘으로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면서 “앞으로도 직원들의 사기진작과 복지향상에 꾸준히 힘써 ‘다니고 싶은 즐거운 일터 만들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