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결제를 뛰어넘어 ‘페이 결제’가 보편화되면서 코로나 기간 중 현금 의존도가 높고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고령층의 불편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현금으로 결제할 수 있는 곳을 늘리는 동시에 새로운 지급결제 수단이 도입될 때 고령층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정책 고려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경태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금융통화연구실 과장과 박재빈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는 31일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디지털 이해도와 현금 수요 간의 관계’(BOK 경제연구)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2021년 한은의 ‘지급수단 및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 행태 조사’ 자료, 지역별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 자료, 지역별 금융기관 점포와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분포 자료를 결합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디지털 방식의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때 느끼는 비효용 정도를 가늠하는 설문 문항을 통해 소비자들을 디지털 이해도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으로 나눴다.
분석 결과,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들은 코로나 시기에도 휴대 현금을 줄일 확률은 평균 16%로, 디지털 이해도가 높은 소비자(26%)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을 늘릴 확률 역시 32%로, 디지털 이해도가 높은 소비자(46%)에 비해 14%포인트 낮았다. 대면접촉을 꺼리는 시기에도 현금을 이용하려는 성향이 매우 강하고, 모바일 금융으로 옮겨가지 않았다는 뜻이다.
보고서는 현금을 받지 않는 상점과 서비스가 늘어나면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계층에서 소비자 후생 감소가 더 클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현금 의존도가 높고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고령층의 소비자 후생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현금 결제를 거부하는 상점과 서비스의 비중이 2%라고 가정했을 때,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40대 미만에선 0.6%, 60대에서는 1%, 70대에서는 2.4% 소비자 후생이 감소한다고 했다.
이 과장은 “70대 이상은 지급결제 수단으로 현금과 체크카드를 주로 이용하고,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후생 감소 폭이 더 크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단기적으로는 현금 결제 수용성을 높이는 정책과 중장기적으로 새로운 지급결제 수단 도입 시 디지털 소외계층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