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사람의 태반 추출물이 효과를 보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앙대병원 피부과 김범준 교수 연구팀은 실험용 쥐와 인간의 각질형성세포를 대상으로 ‘인간 태반 추출물’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를 국제학술지 ‘미생물생명공학저널(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에 게재했다고 27일 밝혔다.
흔히 태반주사로 불리는 인간 태반 추출물은 사람의 태반에서 혈액과 호르몬을 제거하고 남은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분해해 사용하는 주사제 성분이다.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염증을 줄이고 상처 치유에 도움을 주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치료가 쉽지 않고 재발이 잦은 아토피 피부염 같은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는 확인된 바가 없었다.
연구진은 실험에서 아토피 피부염 유발물질을 발라 실험용 쥐와 인간 각질형성세포에 증상이 나타나게 했다. 이어 인간 태반 추출물과 기존의 피부염 치료제 썽분인 ‘덱사메타손’을 각각 피하·복강 내에 주사한 뒤 아토피 피부염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비교해 살펴봤다. 그 결과, 인간 태반 추출물 주사는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활성산소 생성을 감소시켜 산화 스트레스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 태반 추출물을 주사한 실험용 쥐에서도 아토피 피부염이 있을 때 자주 발견되는 주요 사이토카인(면역신호 전달 단백질) IL-4, IgE의 혈중 농도가 각각 60%, 27% 감소했다. 또 과도한 면역반응 때문에 번진 대식세포의 범위와 표피의 두께가 감소한 점에서 아토피 피부염의 병변이 개선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인간 태반 추출물의 아토피 피부염 진행 억제 효과를 확인했다며 유사 피부질환에도 유용한 치료제로 활용될 가능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김범준 교수는 “향후 본격적인 임상연구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 실질적으로 적용이 가능한지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며 “고가의 생물학적 제제를 사용하기 어렵거나 치료 대상이 안 되는 경우,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의 한 선택지로 인간 태반 추출물 주사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