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밭대 교수회 “역사적 퇴행·국격 훼손”
충남대 총학생회 “명백한 위헌적 행위”
‘탄핵 반대 당론’ 정했던 국힘 해체 요구도
비상계엄 선포 사태가 벌어진 지 사흘째인 6일 대전·세종·충남 지역 곳곳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움직임이 이어졌다.
한밭대 교수회는 이날 시국선언문을 통해 “비상계엄으로 인한 역사적 퇴행과 국격 훼손, 국민 농락과 교육 현장의 불안 야기를 우려하며 윤 대통령의 퇴진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국선언에는 한밭대 교수평의원회 평의원과 교수 등 105명이 함께 했다.
교수회 시국선언문은 이날 학내에 대자보 형태로 게시될 예정이다.
교수회는 “비상계엄 선포는 국민의 안전과 사회 통합을 최우선 가치로 여겨야 하는 최고 통치권자가 대통령이라는 자리보전을 위해 권력을 남용한 행위”라며 “전쟁이나 사변 등 국가 비상 상황이 아님에도 절차적 정당성 없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것은 민주화 역사의 유산을 파괴할 뿐 아니라 윤 대통령이 계엄 사유로 강조했던 ‘자유 민주주의 수호’에도 명백히 반하는 행위”라고 밝혔다.
대학생들도 비상계엄 선포를 규탄했다.
충남대 총학생회는 ‘위헌 비상계엄 선포 규탄 시국선언문’을 통해 “대통령의 책무는 본인과 뜻을 달리하는 국민을 척결하고 처단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의 목소리를 듣고 이를 실행에 옮기며 국가를 평안하게 하는 것”이라며 “이번 기습 계엄 선포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인 헌법 정신에 어긋나며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상상할 수조차 없는 시대착오적인 범법행위”라고 주장했다.
총학생회는 “공권력을 남용해 민주주의와 국민의 자유를 억압·탄압하고 저지한 어떠한 행위에 대해서는 정의의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했다.
지역 시민단체에서는 지난 5일 탄핵 반대를 당론으로 정했던 국민의힘의 해체를 요구하고 있다.
대전촛불행동은 이날 오후 4시 국민의힘 대전시당 앞에서 국민의힘 해체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연다.
이들은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과 대화를 하더니 탄핵 반대를 당론으로 정했다”며 “애당초 계엄이 위헌이라 여긴다면 탄핵 소추를 반대할 이유가 전혀 없다. 어떤 경우에도 탄핵소추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헌법기관의 기능을 하지 않겠다는 직무유기에 불과하며 나아가 내란수괴 윤 대통령과 공범임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비상시국회의(준)·세종민중행동 등 세종지역 20여 개 시민단체는 이날 오후 도담동 해뜨락 광장에서 윤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플래시몹 행사를 개최했다.
이들은 “윤 대통령의 직무를 하루빨리 정지시켜야 한다”며 “7일 국회로 총집결해 윤석열 정권을 퇴진시키자는 의미에서 플래시몹 행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주축이 된 윤석열 정권 퇴진 충남운동본부와 지역 시민·사회단체 등도 이날 오후 5시 천안종합버스터미널 앞에서 윤 대통령 퇴진 요구 집회를 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