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전사 특수작전항공단장…당초 4대서 지시 뒤 12대로
“서울 상공 진입 때 허가 안나 공중서 10분간 대기했다”
“국회 한 번도 가본 적 없어, 당황했기에 지연될 수밖에”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회에 특수전사령부 병력을 헬기로 수송했던 대령급 지휘관이 “서울 상공을 진입하는 단계에서 허가가 나지 않아 공중에서 10분 정도 대기했다”고 말했다. 그는 헬기 조종사들은 “평소 훈련 내용과 달라 당황했기 때문에 출동이 지연될 수 밖에 없었다”고 했다. 국회에 병력 투입이 늦어진 이유가 사전 작전 계획을 준비하지 못했고, 예상치 못한 지시가 내려왔기 때문이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김모 육군 특수전사령부 특수작전항공단장(대령)는 이날 국회에서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관계자와 만나 이 같이 말했다고 박 의원 측이 밝혔다. 이날 오후 김 단장을 포함해 작전에 투입된 지휘관 등 10명은 출국 금지됐고, 그의 상관인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중장)은 직무 정지됐다.
김 단장은 “(지난 3일 밤)서울 상공을 진입하는 단계에서 승인이 나지 않아 공중에서 10분 정도 대기했다”고 말했다고 박 의원 측은 전했다. 평소 훈련처럼 특수사령부가 수도방위사령부에 비행계획서를 제출하고 비행승인을 받아놓지 않았다는 것이다. 곽 사령관이 이 부분을 놓쳤을 가능성이 있다.
김 단장은 “항공기 시동을 켠 뒤에 작전지역(목적지)이 국회”라고 들었다고 전했다. 그 전까지만 해도 평소처럼 경기 광주시 특수전학교로 이동하는 훈련으로만 생각했다고 했다. 김 단장은 “국회는 한 번도 가본 적이 없었다”며 “지휘관인 저와 조종사들은 평소 훈련했던 것과 완전히 달라 당황했기 때문에 출동 자체가 지연될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고 박 의원 측은 전했다.
이는 국회 병력 투입이 늦어진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윤석열 대통령이 곽 사령관에게 전화해 병력의 위치를 확인 또는 재촉했던 이유로도 추정할 수 있다. 이날 곽 사령관은 박 의원과 경기 이천시 특전사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으로부터 “‘707(특수임무단)이 어디쯤 이동하고 있느냐’고 (보안 처리된 ‘비화폰’으로) 전화 받았다”고 말했다.
지난 3일 야간 비행은 당초 기동헬기 4대만 운용하도록 계획돼 있었지만, 긴급지시로 8대가 추가돼 12대가 운용됐다고 한다. 이는 특수항공단 전체 24대 헬기의 절반에 해당한다. 기동헬기는 충북 음성군 항공단에서 출발해 경기 이천시 특전사에서 707특수임무단과 특전사를 태우고 국회로 이동했다.
기동헬기에는 기관총을 장착하지 않았으며, 기관총 장착을 시도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 이유에 대해 김 단장은 “기관총 사수들은 병사들인데, 병사들에게 판단할 수 있는 권한을 주면 안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고 박 의원 측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