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왜 ‘직무정지’ 주장으로 돌아섰나, ‘탄핵 찬성’ 8표 나올까

2024.12.06 20:05 입력 2024.12.06 23:40 수정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6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한 대표는 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정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민규 선임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6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한 대표는 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정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민규 선임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탈당을 요구하던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6일 대통령 직무를 정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탄핵소추안 표결와 관련해 여당이 중대 기로에 섰다. 장시간 이어진 의원총회에서 ‘탄핵 반대’ 당론을 뒤집지는 않아 여전히 여당의 선택은 안개 속이다.

한 대표는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윤 대통령의 탈당을 촉구하면서도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은 저지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하루만에 직무정지가 필요하다고 돌아선 데는 윤 대통령이 계엄 당시 주요 정치인들을 체포하려고 했다는 사실을 직접 확인한 것이 결정적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전날 밤 윤 대통령이 충암고 후배인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에게 자신을 포함한 여야 주요 정치인들을 반국가세력이란 이유로 체포하라고 지시해 과천의 수도방위사령부에 수감하려고 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직무정지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했다.

한 대표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를 잘못으로 인정하지 않은 점, 자신의 탈당 요구와 군 간부에 대한 인사 조치를 거부한 점 등을 들어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과 같은 극단적인 행동을 재연할 우려가 크다”고도 했다.

여권에서는 특수부 검사 생활을 오래 한 한 대표가 윤 대통령의 내란죄 기소 및 탄핵을 방어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으리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검찰은 이날 박세현 서울고검장을 본부장으로 비상계엄 사건에 대한 특별수사본부를 꾸리기도 했다.

한 대표는 이날 오후 대통령 관저에서 윤 대통령과 면담한 뒤 의원총회에 참석해 “제 의견은 윤 대통령이 업무정지를 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대통령으로부터 이 판단을 뒤집을 만한 말은 못 들었다”고 밝혔다. 즉각적인 직무정지가 필요하다는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 대표도 이날 밤까지 진행된 의원총회에서 탄핵 반대 당론을 뒤집는 데는 실패했다. 이제 관심은 국민의힘 의원 중 8명 이상이 한 대표를 따라 탄핵안에 찬성하느냐다. 범야권 192명에 8명을 더해야 재적 의원 3분의2(200명) 이상이라는 탄핵 정족수를 채우기 때문이다.

친한동훈(친한)계 의원으로 꼽히는 의원이 20여명이지만 이들 중 다수가 찬성에 동조할 지 미지수다. 한 친한계 초선 의원은 “난 이건 아닌 것 같다”고 반대 의사를 표현했다. 친한계 핵심인 장동혁 최고위원도 탄핵 찬성엔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공개적으로 탄핵 찬성 의사를 밝힌 것은 친한계 중진 조경태 의원과 안철수 의원 뿐이다.

이날 의총장에서는 탄핵안을 두고 치열한 찬반 토론이 오갔다. 한 재선 의원은 통화에서 “탄핵은 안된다는 의견이 많았다”면서 “질서있는 퇴진을 추진하자는 의견도 있었다”고 말했다. 의총에서는 탄핵이 될 수 있다는 위기감 속에 이날 밤 사이 윤 대통령이 자구책을 내놓도록 설득하는 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역사를 바꾸는 밤이 돼야 한다”는 말도 나왔다.

결국 명시적으로 찬반을 밝히지 않은 친한계와 중립지대 의원들이 키를 쥔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전날 임기 단축 개헌을 촉구하며 탄핵 찬성 가능성을 열어뒀던 소장파 5명(김재섭·김상욱·김소희·김예지·우재준)이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지가 관건이다.

대통령 탄핵 가결 넘으면 이번엔 '6인 헌재'가 걸림돌?

주요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