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자구책 없이 침묵 일관
탄핵 정국 와중에 ‘인사’ 내
‘사과 뜻 없다’ 취지로 읽혀
한, ‘임기 단축 개헌’ 제안
당내 “스스로 거취 정해야”
윤석열 대통령은 계엄 사태 나흘째인 6일에도 침묵했다. 윤석열 정부 마비 사태를 해소할 대책을 제안하거나 사과 메시지를 내놓지도 않았다. 윤 대통령이 자진 하야, 임기 단축 등 자구책 없이 ‘버티기’로 일관하면서 탄핵안 가결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윤 대통령은 지난 4일 비상계엄을 해제하는 대국민 담화를 한 뒤 공식적인 자리에선 입을 닫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대국민 담화를 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지만 대통령실은 부인했다.
윤 대통령의 침묵은 사과할 뜻이 없다는 취지로 읽힌다. 윤 대통령은 지난 4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 및 중진 의원들과의 회동에서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유를 “야당의 폭거를 국민들에게 알리려고 했다”고 밝힌 뒤 침묵을 이어가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한 대표를 만났다. 윤 대통령 요청으로 만남이 성사됐고,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과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이 배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이 한 대표와의 만남을 추진한 것은 한 대표가 탄핵 찬성으로 입장이 변하는 듯하자 설득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 대표는 이날 오전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개최해 “윤석열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탄핵 반대 입장이었던 한 대표는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 대통령이 자신을 포함한 여야 당대표 등 정치인들을 잡아들이라고 지시했던 내용이 공개되자 “상당히 분노한 것으로 보였다”고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전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한 대표와의 만남에서 체포조 운영을 지시하지 않았다는 변명만 한 것으로 보인다. 한 대표는 면담 뒤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 참석해 “방금 윤 대통령을 만났고 (윤 대통령은) 체포 지시를 직접 하지 않았다고 했다”며 “제 의견은 윤 대통령이 업무정지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통령으로부터 이 판단을 뒤집을 만한 말은 못 들었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윤 대통령이 “현재로선 특별한 조치를 안 할 것이라 했다”고도 전했다.
대통령실이나 한 대표 모두 대화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만남에서 한 대표는 탄핵이 아닌 방법으로 윤 대통령의 업무를 정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자진 하야를 제안했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국민의힘 고위 관계자는 “임기 단축이나 개헌 얘기는 나오지 않았다”고 했다. 반면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임기 단축 개헌 얘기가 나왔던 것 같다”고 말했다. 한 대표가 임기 단축 개헌을 제안하고, 윤 대통령은 관련 언급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회동 후 윤 대통령이 경호원들과 국회를 방문할 것이란 소식이 전해지면서 소동이 벌어졌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가 “대통령께서는 오늘 국회 방문 일정이 없으시다”고 밝히면서 소동은 일단락됐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박선영 전 의원의 진실화해위원장 임명안을 재가했다. 탄핵 여론에도 불구하고 업무를 계속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이 자구책을 내놓지 않으면서 7일로 예정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가결 가능성은 높아졌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대국민 사과를 하고 스스로 거취를 얘기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