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발표 후 ‘안보폰’으로 통화
이후 방첩사서 받은 체포 명단에
우원식·한동훈·이재명·김어준·김명수 전 대법원장·권순일 포함
홍장원 국가정보원 1차장이 6일 국회를 찾아 “윤석열 대통령이 ‘이번 기회에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고 국회 정보위원회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전했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홍 차장과 면담한 뒤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이 지난 3일 비상계엄 선포 이후 홍 차장에게 ‘안보 핸드폰’으로 전화해 이같이 말했다고 설명했다. 홍 차장은 면담에서 “3일 저녁에 대통령으로부터 두 번 전화가 왔었다”며 “오후 8시20분쯤 온 전화는 받지 못하고 (내가) 오후 8시22분쯤 직접 전화를 드렸는데 ‘1~2시간 후에 중요하게 할 이야기가 있으니 전화기를 잘 들고 대기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말했다.
홍 차장은 “국정원 집무실에서 대기하고 있었고, 오후 10시53분쯤 전화로 (윤 대통령이) 국정원에도 대공수사권을 줄 테니 방첩사령부를 지원하라고 했다”며 “자금이면 자금, 인력이면 인력, 무조건 도우라고 해서 알겠다고 했다”고 했다. 홍 차장은 이후 여인형 당시 방첩사령관에게 전화를 걸어 윤 대통령 지시를 전달했고, 여 전 사령관은 체포 대상자 명단을 불러주며 위치 추적을 요청했다.
윤 대통령이 잡아들이라고 지시한 대상은 우원식 국회의장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민주당의 이재명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 김민석 최고위원, 정청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이었다고 홍 차장은 밝혔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와 방송인 김어준씨, 김명수 전 대법원장, 권순일 전 대법관, 김 최고위원 친형인 김민웅 촛불행동 대표도 체포 명단에 포함돼 있다고 했다.
다만 홍 차장은 윤 대통령 지시가 ‘말이 안 된다’고 생각했고, 이어 열린 국정원 주요 간부 회의에서도 결론을 내지 못했다고 밝혔다. 홍 차장은 전날 오후 4시쯤 조 원장이 대통령의 ‘즉시 경질’ 지시 내용을 전해 사직서를 제출했지만, 이날 오전 이임식을 마친 직후 조 원장이 사직서를 반려했다고 전했다.
조태용 국정원장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비상계엄과 관련해 대통령이 국정원에 정치인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전혀 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홍 차장 인사 조처에 대해서도 “오로지 제 판단으로 (대통령에게) 건의하고 인사하게 됐다”고 했다.
여 전 사령관이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주요 인사 위치 파악을 요청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경찰청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양부남 민주당 의원실에 “조 청장이 비상계엄 선포 직후 3일 22시30분에서 40분쯤 여 전 사령관과 통화했고, 여 전 사령관이 정치인 등 주요 인사의 위치 확인을 요청했다”며 “조 청장이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이후 우 의장과 한 대표, 이 대표를 체포하려는 시도가 있었다고 주장해왔다.
한 대표도 이날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난 계엄령 선포 당일 윤 대통령이 주요 정치인 등을 반국가 세력이라는 이유로 체포하도록 지시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그렇게 체포한 정치인들을 과천 수감 장소에 수감하려고 했던 구체적인 계획이 있던 것으로 파악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