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1개월 무렵의 신생아에게 구토 증상이 심하게 자주 나타나면 ‘비대성 유문협착증’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증상이 지속되면 탈수증과 영양 및 전해질 부족으로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어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비대성 유문협착증은 위와 십이지장을 연결하는 유문의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져 음식이 넘어가는 통로가 좁아지는 질환이다. 신생아가 먹은 모유나 분유가 십이지장으로 넘어가지 못해 위장에서 정체하다가 구토가 발생한다. 대표적인 증상은 수유 후에 구토가 반복되는 것으로, 심하면 분출하는 구토를 하는 경우도 있다. 신생아 시기엔 소화기관이 발달하지 않아 모유나 분유를 먹은 뒤 트림을 적절히 시켜주지 못하는 등의 이유만으로도 구토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나, 먹은 것을 조금 게워내는 정도가 아니라 분수처럼 뿜어내는 상황이 잦다면 비대성 유문협착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이 질환은 발병 원인이 확실하지 않은 선천성 질환으로, 증상은 빠르면 생후 2주부터 발생하며 보통 생후 1개월을 전후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젖을 먹어도 십이지장을 지나 소장·대장까지 가기 어렵다보니 탈수증과 함께 영양 불량, 전해질 이상이 생길 수 있다. 영양이 부족한 상태여서 아기는 구토 이후에도 계속 먹으려는 반응을 보이지만 체중 증가가 더딜 수밖에 없다. 증상이 심하면 검사에서 탈수의 징후와 함께 상복부에 도토리 크기 정도의 덩어리가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진단은 초음파 검사로 유문의 근육층 두께와 유문부 길이를 측정해 내린다. 이 질환으로 확진되면 우선 반복적인 구토로 인한 탈수증과 전해질 불균형 상태를 호전시키기 위한 수액치료를 시행한다.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선 수술도 해야 한다. 배에 작은 구멍을 내고 두꺼워진 유문벽 근육을 절개하는 복강경 유문절개술을 시행하면 좁혀져 있던 유문부가 정상적으로 넓어져 음식물이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오채연 고려대 안산병원 소아외과 교수는 “비대성 유문협착증은 생후 1개월 즈음 반복적으로 구토를 하는 아기에게 의심해볼 수 있는 질환”이라며 “초음파 검사로 진단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수술로 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빠른 치료로 아이의 건강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