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커진 국민들의 항공기 이용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11개 국적사의 안전체계 전반과 전국 15개 공항의 활주로와 터미널 등 주요시설에 대한 합동 점검을 이번 달 말까지 실시하기로 했다.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13일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7차 회의’에서 “사고조사위원회가 투명하고 객관적인 조사를 위해 사고가 난 비행기 동체를 조사 장소로 이동하고, 공항 내 폐쇄회로(CC)TV 영상 등 다양한 자료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병행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본부장은 사고조사위원회에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와 비행기록장치(FDR)를 비롯해 관제 기록, 영상물, 부품 정밀 조사 등 다양한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사고 원인 규명을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본부장은 “전국 공항의 항행안전시설에 대한 특별점검과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항공기와 동일한 기종을 보유한 항공사에 대한 특별안전점검이 지난주 마무리됐다”며 “국민께서 안심하고 항공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점검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해 즉시 조치할 수 있는 사항들은 조속히 진행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지난주 토요일 유가족의 요청대로 사고 현장 수색 범위를 확대해 진행하고 있다”며 “희생자를 추모하고 유가족을 위로하기 위해 오는 18일 예정된 합동 추모제도 예우를 갖춰 소홀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