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트럼프 관세·딥시크 파장 대책 회의···대통령 직무정지 상태에서 이례적 대응

2025.02.03 15:30 입력 2025.02.03 16:29 수정

용산 대통령실 청사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용산 대통령실 청사 대통령실사진기자단

대통령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딥시크’ 파장 등에 대한 대책 회의를 최근 연이어 개최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된 상태에서 대통령실이 적극적으로 정책 대응에 나선 것으로 이례적이다. 윤 대통령이 접견 온 대통령실 참모들에게 “최선을 다해달라”고 지시한 영향으로 해석된다.

대통령실은 3일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미국의 대 멕시코·캐나다·중국 관세 조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들어오는 제품에는 25%, 중국에서 들어오는 제품에는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대통령실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등을 중심으로 우리 경제와 진출기업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소통하면서 긴밀하게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통상교섭본부장 주재 긴급 대책회의,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 대외경제현안 간담회 개최, 진출기업과 영향 점검회의 등도 한다.

대통령실은 지난달 31일도 정 비서실장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충격을 분석하고 향후 계획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딥시크는 중국의 AI 스타트업으로 저비용·고성능 모델 개발에 성공해 전 세계적으로 충격을 준 바 있다. 대통령실은 이날 “딥시크 등장으로 격화되는 글로벌 AI 경쟁 상황과 주요국들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향후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중심으로 추가적인 분석과 민·관의 혁신 역량을 모은 대응책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이 직무정지된 상태에서 대통령실이 회의를 개최한 것은 이례적이다. 대통령실은 지난해 12월14일 국회에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의결된 이후 공식 회의를 중단했었다. 정 비서실장 주재의 간담회로 대체했다. 대통령실은 지난달 15일 윤 대통령이 체포된 이후 공식 회의를 하고 입장을 낸 건 한 차례뿐이다. 대통령실이 정책 분야 대응을 위해 지난달 31일과 이날 연이어 회의를 개최한 것은 국정 운영을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이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읽힌다.

이는 윤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정 비서실장 등 서울구치소로 접견 온 대통령실 참모들에게 “대통령실이 국정의 중심인 만큼 의기소침하지 말고 각자 위치에서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한 게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또 보수 지지층 결집 현상이 일어나면서 여권 지지율이 상승하자 대통령실이 국정 운영 주체라는 점을 보여주려는 의도로도 읽힌다.

많이 본 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