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등록금을 인상하는 4년제 대학이 60곳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4년제 대학 10곳 중 3곳 이상이 등록금 인상을 결정한 것이다. 대학가에선 등록금 인상 시도와 결정에 반발하는 학생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등록금 인상분 일부를 ‘커피값 아끼면 부담가능하다’는 발언까지 나오며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3일 대학정보 공시사이트인 대학알리미와 각 대학 홈페이지 등을 취합한 결과 이날까지 학부 등록금 인상을 결정한 학교는 60곳을 넘어섰다. 전국 4년제 대학 199개교 중 30%에 달하는 수치다. 서울 연세대(4.98%), 고려대(5%), 성균관대(4.9%)를 비롯해 경기권에선 가천대(4.9%), 가톨릭대(4.65%)가 등록금 인상을 의결했다.
비수도권 대학들도 등록금 인상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울산대는 17년 만에 등록금 4.99%를 인상하기로 최근 의결했고, 충북 청주대는 올해 학부 등록금 5.1%를 인상한다. 충북의 한국교원대도 올해 법적으로 가능한 등록금 인상 최대치인 5.49%를 인상한다.
일부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반발하고 있다. 전국 사립대 중 적립금(7500억원)이 가장 많은 홍익대는 학생들이 등록금 인상 시도에 문제제기를 하고 나섰다. 홍익대는 한 해 등록금 900만원 안팎의 미대와 공대 중심의 학교다. 홍익대 총학생회가 이날 1817명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94.2%는 등록금 인상에 반대하거나 동결할 것을 요구했다. 등록금 인상 반대 이유로는 ‘등록금을 인상해도 교육 환경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1445명)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홍익대는 2월 중 다시 등록금심의위원회를 열어 등록금 인상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등록금 4.85% 인상을 결정한 숙명여대에서도 학생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숙대는 지난달 31일과 이날 두 차례 재학생 대상 간담회를 진행했다. 등록금 인상 외에 재정 확충 방안, 지금까지 학내 재정이 투입된 부분 등을 묻는 질문이 나왔다.
등록금 인상 절차와 과정에 문제제기가 이어지는 대학들도 있다. 지난해 12월30일 열린 등심위에서 등록금 인상(5.3%) 의결을 한 성신여대는 올해 1월1일 새로 구성된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확보된 재원을 어디에 쓸지 명확하게 밝히지 않는 등 의견 수렴이 없었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당시 등심위에 참석한 학생위원이 “새로 구성된 총학생회 임기가 시작되는 1월에 등록금 관련 결정을 하자”고 제안했지만 학교 측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등록금 4.2% 인상을 의결한 동덕여대에선 동문위원 측 발언이 논란이 됐다. 동덕여대 비상대책위원회가 공개한 지난달 21일 등심위 회의내용을 보면, 동덕여대 동문위원은 “1%라고 해봤자 6만~7만원인데 커피값을 아끼면 등록금 인상분을 부담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허수경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 조직사무국장은 “2023년부터 비수도권 대학에선 등록금 인상이 이어지고 있었다”며 “그동안 정부가 대학 재정에 관한 논의를 손 놓으면서 많은 부담이 학생과 학부모에게 전가된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