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항공기 사고에···항공안전체계 손볼 ‘혁신위’ 첫발 뗐다

2025.02.04 10:21 입력 2025.02.04 13:47 수정

제주항공 참사부터 에어부산 화재까지 대형 항공기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자 정부가 항공안전체계 전반을 손보기로 했다.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항공안전 혁신위원회에서 4월 중 혁신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지난달 3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및 국과수 관계자 등이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에 파묻힌 엔진을 살펴보고 있다.권도현 기자

지난달 3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및 국과수 관계자 등이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에 파묻힌 엔진을 살펴보고 있다.권도현 기자

국토교통부는 4일 ‘항공안전 혁신위원회’ 첫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선 위원회를 이끌어갈 위원장을 선출하고, 위원회 운영 방향과 목표를 설정했다.

위원회는 4월까지 약 10주간 운영된다. 민간 전문가 20여명이 ‘항공운항 안전분과’와 ‘공항시설 개선분과’로 나눠 활동할 예정이다. 논의 과정에서 필요할 경우 관련 전문가를 추가 임명할 수도 있다고 국토부는 전했다.

위원회는 우선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수습 과정에서 지적된 LCC(저비용항공사)의 정비 역량 제고와 높은 항공기 가동률 관리, 공항 건설·운영 규정 간 불일치 해소 문제 등을 다룰 예정이다.

이밖에 항공기 운항 인허가 시 안전성 검토를 강화하고, 항공안전투자 공시제도를 내실화하는 등 쇄신 방안도 논의한다. 위원회는 항공·공항 각 분야 현장점검과 국내·외 사례분석을 수행하기로 했다.

위원회는 다음 달 말까지 항공안전 전 분야에 걸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공청회를 개최해 의견을 수렴한다는 계획이다. 최종 확정된 항공안전 혁신대책은 4월 중 발표될 예정이다.

회의를 주재한 백원국 국토부 2차관은 “항공안전 체계를 처음부터 다시 세운다는 결심으로 뼈를 깎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했다.

많이 본 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