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70% “올해 이직할 것”···이직 이유 1위는 ‘더 많은 급여’

2025.02.06 08:58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사거리에서 시민들이 두터운 옷차림으로 출근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사거리에서 시민들이 두터운 옷차림으로 출근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경기침체 등으로 구직·이직 시장이 얼어붙은 가운데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올해 이직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은 직장인 1467명을 대상으로 이직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0.1%가 올해 이직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직급별로는 대리급(76.2%)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부장급(71.4%), 과장급(70.4%), 사원급(68.2%), 임원급(56.6%)의 순으로 이직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 이유(복수응답)로는 ‘더 많은 급여를 받기 위해서’(56%)라는 답변이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회사의 비전이 없고 성장이 정체돼서(41.4%), 업무 역량의 성장을 기대할 수 없어서(31.3%), 복지제도가 미흡해서(26%) 등의 답변이 이었다.

이직 시 직무·업종 유지 여부에 대해서는 조사 대상의 30.7%가 ‘유지할 것’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27.6%는 ‘직무만 유지한다’고, 17.2%는 ‘업종만 유지한다’고 각각 답했다. 반면 직무와 업종을 모두 바꾼다는 직장인은 24.5%였다.

올해 이직을 계획한 직장인 10명 중 4명(35.2%)은 ‘이직에 성공할 자신이 없다’고 답했다. 이직에 자신이 없는 이유로는 ‘경기 침체가 이어질 것 같아서’가 61.6%로 가장 많았다.

실제 입사 지원할 만한 채용이 적을 것 같아서(58%), 채용 과정에서 어필할 만한 커리어 스펙이 부족해서(37.6%), 경쟁자들의 실력이 상향 평준화되고 있어서(23.8%), 국제 정세 등 불확실성이 커서(16%) 등의 답변도 이어졌다.

한편 올해 이직할 생각이 없는 직장인(439명)은 그 이유로 ‘경기가 안 좋고 불확실성이 커서’(49.7%·복수응답)를 꼽았다. 이어 ‘현재 회사에서 경력을 더 쌓기 위해’(27.6%), ‘현재 회사의 조건이 마음에 들어서’(23%), ‘현재 회사에서 인정받고 있어서’(22.6%), ‘기업들의 채용 공고가 별로 없어서’(17.5%), ‘현재 회사가 정년이 보장돼 최대한 오래 다니기 위해서’(16.2%) 등의 답변이 있었다.

많이 본 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