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제공 등 도움 시책 보완, 작년보다 증액 총 718억 편성
생계급여 탈수급 땐 최대 150만원 지원 ‘자활성공지원금제’ 신설도
대구시는 올해 저소득층 자립 지원금을 늘려 관련 사업을 확대한다고 6일 밝혔다.
시는 일할 능력이 있는 저소득 시민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자립·자활에 도움을 주는 시책을 보완하기로 했다. 올해 대구시 자활사업 예산은 지난해보다 20억원 증가한 약 718억원으로 편성됐다.
우선 ‘자활근로사업’ 참여 대상을 늘린다. 이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에게 청소·세탁·간병·집수리·복지도우미 등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노동의 대가로 자활급여를 지급해 탈수급 및 자립을 돕는 제도이다.
대구시는 사업 참여자를 약 3000명 수준(지난해 2848명)까지 늘려 개인별 능력과 적성에 맞게 근로유지형·사회서비스형·시장진입형 등 자활근로사업단 169곳 및 자활기업 39곳에서 일할 수 있게 도울 예정이다. 자활급여도 전년 대비 3.7% 인상한다.
특히 대구시는 이 사업에 참여한 시민이 민간시장 취·창업으로 생계급여 탈수급에 성공한 경우, 최대 150만원을 지원하는 ‘자활성공지원금’ 제도를 신설했다. 시는 참여자가 취업 후 6개월간 근로 유지 시 50만원, 1년 이상 유지하면 추가로 100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또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청년이 자립에 필요한 자산을 모을 수 있도록 저축액과 비례해 근로소득장려금을 지원하는 ‘자산형성지원사업’도 확대된다.
대구시는 기준중위소득 인상에 따라 청년내일저축계좌 신규 가입자를 추가 모집할 계획이다. 희망저축계좌Ⅱ의 근로소득장려금도 가입 연차별(3년)로 차등 인상하는 등 약 1만명의 자산형성통장 가입자를 돕게 된다.
김태운 대구시 보건복지국장은 “자활근로사업 참여자의 욕구에 맞는 근로기회 제공과 자산형성지원사업의 확대를 통해 시민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일자리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께서는 자활근로사업에 많은 참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