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처·공공기관·지자체까지 “딥시크 쓰지 마!”

2025.02.06 20:18 입력 2025.02.06 21:25 수정

개인정보 보안 이유 접속 차단

환경부 등 곳곳 챗GPT는 허용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에서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 ‘금지령’이 확산하고 있다. 외교부·국방부·산업통상자원부에 이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통일부·환경부·중앙선거관리위원회·경찰청·금융위원회 등과, 서울시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도 개인정보 보안을 이유로 딥시크 접속 차단에 나섰다.

과기정통부는 6일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은 “우선 잠정적으로 딥시크 보안에 관한 문제점들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어 조치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보건복지부·여성가족부·농림축산식품부·국토교통부·중소벤처기업부 등도 이날 접속을 차단했거나 차단할 예정이다.

지금도 각 부처는 보안 문제로 내부 전산망과 인터넷이 연결된 외부망을 물리적으로 분리해 운영한다. 내부 업무망에서는 딥시크를 비롯한 모든 생성형 AI에 접속할 수 없고 외부망으로는 가능하다. 환경부 등 일부 부처들은 이날 외부망을 통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면서 챗GPT 등 다른 생성형 AI의 접속은 막지 않았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와 통화하며 “정보 유출 예방을 위해 생성형 AI 사용 유의사항을 직원들에게 안내하고, 기술적 우려가 다수 제기되고 있는 딥시크는 접속 차단 조치를 했다”고 설명했다.

경찰청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공정거래위원회도 이날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고 공지했다. 공정위는 “개인정보 등 민감정보의 수집·처리 관련 약관사항 등이 명확히 확인될 때까지 딥시크 접속을 일시 차단한다”고 했다.

전국 지자체도 업무용 컴퓨터의 딥시크 접속 차단 조치에 들어갔다. 서울시는 이날 오후 4시부터 안전성 확보 전까지 딥시크 등 일부 생성형 AI 서비스 접속을 신청자에게만 허용한다는 내용을 내부에 전파했다. 서울시는 “시스템 관리자 등 중요 정보를 다루는 PC는 신청을 자제해달라”고도 했다.

경기도와 제주도, 대구시, 인천시 등도 이날부터 업무용 PC의 딥시크 접근 차단 대열에 합류했다.

많이 본 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