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 장관 “트럼프 임기 내 강달러 정책 유지”

2025.02.07 11:32 입력 2025.02.07 14:58 수정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 지명자가 16일(현지시간) 상원 재무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 지명자가 16일(현지시간) 상원 재무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 동안 강달러 정책을 이어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 인터뷰에서 “강달러 정책은 트럼프 대통령과 완전히 일치한다”며 “우리는 달러가 강세를 유지하기를 원한다. 우리가 원하지 않는 것은 다른 국가들이 그들의 통화를 약화하고 무역을 조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베센트 장관은 “(많은 국가에서) 대규모 무역흑자가 누적되고 있지만, 자유로운 형태의 무역 시스템이 마련돼 있지 않다”며 이는 부분적으로는 환율 때문일 수 있고, 일부 국가에서는 ‘금리 압박’ 때문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베센트 장관은 그러면서 “우리는 공정한 무역을 원하며 그 일환으로 통화와 무역 조건에 관한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블룸버그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때는 강달러 정책을 밀어냈다고 짚었다. 수십년간 미국 고위 당국자들이 강달러를 경제 역동성 증거로 선전하고 중시해 온 반면, 1기 트럼프 정부는 강달러가 수출 위축과 다국적 미국 기업들의 해외 수익 감소로 이어진다는 견해를 지녔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 자신이 강달러 비판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그는 대선 후보 시절이던 지난해 4월 일본 엔화 대비 달러 가치가 3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자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서 “멍청한 사람들에게는 좋게 들리겠지만, 미국의 제조업계 등에는 재앙”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최근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와 감세 정책이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을 유인하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를 늦출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달러화가 지난해 11월 대선 이후 급등세를 보여왔다고 매체는 언급했다.

많이 본 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