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아예 법으로 ‘딥시크’ 정부기관 차단 추진

2025.02.07 11:50 입력 2025.02.07 14:52 수정

미국 성조기와 중국 오성홍기를 배경으로 딥시크 로고가 스마트폰 화면에 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성조기와 중국 오성홍기를 배경으로 딥시크 로고가 스마트폰 화면에 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연방의회가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챗봇 애플리케이션(앱)의 사용을 아예 법으로 막는 방안을 추진하고 나섰다. 해당 앱이 사용자 정보를 중국 정부에 넘길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면서다.

미 연방 하원 정보위원회 소속 대런 라후드(공화당) 의원과 조시 고트하이머(민주) 의원이 딥시크 앱을 미 정부 기관 기기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고트하이머 의원은 “적대국이 우리 정부의 정보를 입수하는 것을 막기 위해 즉각적인 조처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미 연방의회는 2022년 민감한 사용자 정보가 중국 정부에 흘러 들어갈 가능성을 우려해 정부 기기에서 중국계 동영상 앱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처리한 바 있다.

딥시크의 AI 모델은 오픈AI의 챗GPT와 비슷한 성능을 보이면서도 개발비는 빅테크의 10분의 1이라고 밝혀 미국 실리콘밸리에 충격을 줬다. 딥시크 AI 모델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딥시크의 챗봇 서비스 앱은 미국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중국 정부로의 잠재적 데이터 유출 가능성과 개인정보 보호 취약성 때문에 딥시크에 대한 보안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딥시크 모델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미국에서 사업이 금지된 중국 국영통신사 차이나모바일로 전송하는 코드가 숨겨져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 ABC방송은 사이버보안업체 페루트 시큐리티의 이반 차린니 최고경영자(CEO)가 AI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딥시크의 코드를 해독한 결과 감춰진 부분이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딥시크에 가입하거나 로그인하는 사용자는 자신도 모르게 중국 내 계정을 만들게 돼 신원, 사용한 검색어, 온라인상에서 어떤 행동을 하는지가 중국 정부 시스템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딥시크의 이용약관은 “중화인민공화국 법에 따른 통제를 받는다”고 기술하고 있다. 또 개인정보보호정책은 채팅과 검색어 내역, 키 입력 패턴, IP 주소, 다른 앱에서의 활동 등 모든 종류의 자료를 수집한다고 적시했다.

한국을 포함한 각국에서는 이미 딥시크 접속 차단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해군과 항공우주국(NASA) 등 일부 연방기관이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으며, 주 정부 차원에서는 텍사스주가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 상태라고 WSJ은 전했다.

많이 본 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