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격적인 교사 초등생 살해, 원인 규명해 재발 없게 해야

2025.02.11 18:42 입력 2025.02.11 21:35 수정

1학년 학생이 교사에게 살해당한 대전 서구 한 초등학교에 11일 시민들이 두고 간 편지와 꽃, 과자, 인형 등이 놓여있다. 연합뉴스

1학년 학생이 교사에게 살해당한 대전 서구 한 초등학교에 11일 시민들이 두고 간 편지와 꽃, 과자, 인형 등이 놓여있다. 연합뉴스

지난 10일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1학년 학생이 교사가 휘두른 흉기에 찔려 숨지는 끔찍한 사건이 일어났다. 학교에서 이런 참극이 벌어진 것도 놀랍지만 외부인이 아닌 교사가 벌인 일이라 더 충격적이다.

11일 대전교육청 브리핑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18분쯤 돌봄 수업을 마친 아이와 연락이 닿지 않는다는 부모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이 시청각실에서 흉기에 찔린 채 쓰러져 있는 A양을 발견했다. A양은 돌봄교실에서 나와 미술학원차를 타러 가는 도중 변을 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A양은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 같은 장소에서 목과 팔에 부상을 입은 교사 B씨도 발견돼 병원으로 옮겨졌다. 경찰은 범행 후 B씨가 자해한 것으로 보고 있다. B씨는 경찰에 “내가 흉기를 휘둘렀다”고 자백했다고 한다.

이 교사는 지난해 12월 초부터 6개월간 우울증으로 인한 휴직을 신청했으나 12월30일 조기 복직했다. 복직 뒤엔 교과전담 교사로 일했다. 이 교사는 사건 발생 나흘 전에도 동료 교사에게 폭행을 휘둘러 문제가 됐다고 한다. 이 사실을 학교 측이 교육청에 보고했고, 교감 옆자리에서 근무하도록 했다. 범행 당일은 교육 당국이 현장 지도를 다녀간 날이었다. 그날 교사 감독만 잘했어도 사고를 막을 수 있지 않았을까 싶어서 안타깝다.

하지만 가해자의 병력을 두고 섣부른 예단은 금물이다. 언론도 추측성 보도는 삼가야 한다. 교육 현장에서 정신질환자가 방기되는 현실은 개선되어야 하지만, 모든 정신질환자가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되어서는 안 된다. 경찰 조사를 신중하게 지켜봐야 하는 이유다. 이 문제는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가해 교사의 신상이 돌봄 교사라고 잘못 알려지면서 혐오와 차별 언행도 쏟아졌다. 비록 정교사로 정정되긴 했지만, 똑같은 선생님인데 돌봄 교사랍시고 비난을 퍼붓는 현실은 부끄럽다.

가장 안전해야 할 곳이 학교다. 학생들이 범죄 대상이 된다면 어떻게 안심하고 자녀들을 학교에 맡기겠는가. 교육 당국은 사고 원인을 면밀히 파악하고, 철저하게 대책을 마련해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경찰은 해당 교사가 이전부터 문제가 있지는 않았는지, 교육 당국이 이를 사전에 인지하고도 적절한 조치나 관리를 하지 않았는지 조사해 엄벌해야 한다. 아이들이 학교만큼은 안전하게 다닐 수 있어야 한다.

많이 본 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