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만 개발 놓고 “새 단장” “난개발” 이견

2025.02.11 20:20 입력 2025.02.11 20:24 수정

창원시, 일본·독일 모델로 친수공간·야경명소 등 조성 계획

환경단체 “그동안 매립 탓 바다오염 고통…추진 땐 더 악화”

경남 창원시의 마산만 개발 사업 조감도. 창원시 제공

경남 창원시의 마산만 개발 사업 조감도. 창원시 제공

경남 창원시가 마산만 개발사업 추진절차에 착수하면서 환경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마산항의 부두 시설을 활용해 친수공간을 만들고 관광자원으로 개발하겠다는 게 시의 구상이지만, 환경단체들은 난개발로 120년 넘게 고통받아온 마산만이 또 다른 매립사업으로 망가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11일 창원시에 따르면 시는 2023년 4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진행한 ‘창원 해안선 연계 해양정책기본계획수립 용역’ 결과를 토대로 최근 마산만 바닷가 가치회복 선언을 공개했다.

이 선언에서 창원시는 마산만 바닷가의 현 상황을 진단하고, 접근성과 연결성을 높여 시민이 누릴 수 있는 바다의 복원이 필요하고 밝혔다.

창원시는 마산만 개발사업의 모델로 지금도 진행 중인 ‘일본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21’과 ‘독일 하펜시트’ 개발사업을 사례로 들었다. 일본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21은 공공·민간·비영리단체가 참여해 도심과 해안을 연결하는 공원과 수변 산책로, 도보 덱을 설치하는 대규모 개발 사업이다. 독일 함부르크 하펜시티는 2030년 완공을 목표로 10㎞가 넘는 수변 산책로, 콘서트홀, 해양박물관, 크루즈 터미널 등을 조성하고 있다.

이에 마산만의 개발 방향은 마산항의 기존 부두 시설을 활용해 친수공간을 만들고, 친수공간을 다리·산책로·도로로 이어 연결성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해안가에 경관조명을 설치해 세계적 야경명소를 만들 계획이다.

콘크리트로 덮인 마산 도심하천도 자연 친화적으로 복원해 마산만으로 흐르는 물길을 되살리겠다는 구상이다.

창원시가 이러한 3가지 개발 구상안을 내놓자 환경단체는 즉각 반발했다. 창원물생명시민연대는 “창원시의 마산만 개발 조감도를 보며 경악을 금치 못했다”면서 “일제강점기부터 시작해 120년 넘게 매립과 난개발로 고통받아온 마산만을 절단내는 개발사업”이라고 지적했다.

환경단체는 그동안 잇따른 매립사업으로 마산만 오염, 마산해양신도시(인공섬) 장기 표류, 정어리떼 집단폐사 등의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마산만은 과거 오염되고 자연성을 잃은 바다의 대명사였다. 일제강점기 마산항 개항과 1970년대 이후 해안을 따라 마산자유무역지역, 창원국가산업단지가 들어서는 산업화 과정에서 무분별한 매립, 인구 증가로 가포·월포해수욕장이 사라졌다. 정부가 2007년 전국 처음으로 ‘연안오염 총량관리제’를 시행할 정도로 수질조차 엉망이었다. 연안오염 총량관리제 시행으로 흘러드는 오염물질 총량을 아직까지 억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20년 넘게 사업이 표류 중인 마산만 마산해양신도시(64만2167㎡)는 시행자인 창원시가 조성비에 대한 대출 이자로만 2019년부터 매년 수십억원(2024년 49억원)을 낭비하고 있다.

마산만 매립에 따른 바다환경 변화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연속해서 매년 10월쯤이면 최대 226t의 정어리가 집단폐사해 마산항이 몸살을 앓고 있다.

많이 본 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