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민 권한대행 비교섭단체 대표연설
“단죄 위해 반헌특위에 조사 권능 부여”
국민소환제 등 논의할 정개특위 구성 제안
민주당 ‘우클릭’ 비판도 “부자 감세 정상화”
조국혁신당이 12일 12·3 비상계엄 사태로 무너진 헌정질서를 회복하자며 ‘반헌법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헌특위) 구성을 제안했다. 기획재정부 개편 등 사회 대개혁도 주장했다.
김선민 혁신당 대표 권한대행은 이날 국회 비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내란 세력과 그 무리를 단죄해야 한다”며 반헌특위를 독립 법정기구로 설치하자고 밝혔다. 김 권한대행은 “반헌특위에 조사 권능을 부여해야 한다”며 “수사가 필요하면 상설특검을 발동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내란의 진상을 낱낱이 밝히고 단죄의 근거를 마련해 내란 세력을 발본색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당제 정착을 논의할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 구성도 제안했다. 김 권한대행은 “다원적 민주주의와 다당제가 우리 정치에 정착할 때가 됐다”며 “국회에 정개특위를 두고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제안한 국회의원 국민소환제를 정개특위에서 논의하자고 했다.
사회 대개혁도 주요 키워드로 제시했다. 김 권한대행은 우선 주거와 건강 등 8개 분야에 대해 연도별 입법 과제와 재원 조달 방안을 담은 5개년 종합 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국가재정을 독점해 재정 파탄을 초래한 기획재정부를 경제기획부와 예산처로 개편하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세종시 완전 이전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권한대행은 조기 대선을 대비한 야권과 시민단체 연합을 강조했다. 김 권한대행은 “내란 우두머리의 파면이 확정되고 조기 대선을 치르게 된다면 극우 내란 세력을 제외한 모든 이들이 단단하게 연합해 압도적 승리로 집권해야 한다”며 “그래야 극우 파시즘을 발아 단계에서 제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위해 헌정 수호, 민주 공화정을 믿는 모든 이들이 연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근 민주당의 ‘우클릭’ 기조에 대한 비판도 연설문에 담았다. 김 권한대행은 “금융투자소득세와 코인세로 대표되는 부자 감세부터 정상화하자”며 “그렇게 모은 재원으로 시민들의 기본적인 삶을 보장하고 민생을 회복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김 권한대행은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통한 1인당 30만원의 내란극복지원금 지원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