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보기관, 가능성 언급
트럼프도 무력 사용 시사
미국 정보기관이 올해 중 이스라엘이 이란의 핵시설에 대한 대규모 공격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2일(현지시간) 미국 정보기관이 조 바이든 행정부 임기 종료 직전인 올해 초 이 같은 평가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보도했다. 이스라엘이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을 일종의 기회로 판단해 별러왔던 이란 핵시설 공습을 단행할 것이란 판단이다. 이에 따라 미 정보기관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이스라엘이 이란 핵시설 공격을 고려하고 있다는 별도의 보고서를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스라엘은 이란의 현 전력으로 미뤄볼 때 공격을 받더라도 대대적으로 반격할 위험이 과거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이스라엘이 이란 군사시설을 공습해 이란 방공망이 크게 약화된 데다, 하마스·헤즈볼라 등 친이란 무장세력의 힘이 빠진 것도 이스라엘이 올해가 이란 핵시설 공격의 적기라고 판단한 요인이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도 지난해 11월 “이란은 그 어느 때보다 핵시설에 대한 공격에 취약해졌다”며 “이스라엘에 대한 위협을 제거할 기회를 갖게 됐다”고 말한 바 있다.
이스라엘이 이란 핵시설을 공격할 경우 미국의 직간접적 지원 내지 승인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스라엘은 트럼프 정부 출범을 기회로 판단하고 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중동지역 확전을 우려해 이에 반대하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반면 트럼프 정부에는 이란 핵시설 공격을 배제해선 안 된다는 쪽과 외교적 해결을 우선하자는 쪽이 모두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선제공격을 주장하는 매파는 이스라엘과 공동 작전에 참여하는 방안 역시 검토하자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습에 대한 질문에 “추가 조치를 안 하고도 해결이 가능하다면 좋을 것”이라고 답했다. 대화를 통한 해결에 우선 방점을 찍었으나, 무력 사용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