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윤리위, 윤석열 제명·출당 논의 “안 한다···전 윤리위에서 종결”

2025.02.13 20:58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에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에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는 13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제명 및 출당 논의가 종결됐다며 재논의는 없다고 밝혔다.

여상원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윤리위 1차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 탈당 건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며 “지난 윤리위에서 (논의가) 종결됐기 때문에 하지 않는다. 다시 징계 요구가 있거나 하면 그때 가서 결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전 윤리위에서 징계절차를 진행하지 않기로 하고 종결했느냐는 질문에는 “그건 모른다. 그 전 위원회 결정사항이라”라고 말했다.

앞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지난 12월12일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윤 대통령의 제명 및 출당 등 징계를 심의하기 위한 윤리위를 소집했다. 당시 한 전 대표는 “더 이상 윤 대통령이 대통령직을 수행할 수 없다. 그 점이 더욱 명확해졌다”고 윤리위 소집 이유를 밝혔다. 이에 당 윤리위는 “대통령에 대해 징계 절차 개시 등에 대한 심의를 시작했고,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실체 및 절차에 관해 신중하게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으나 별도 공지 없이 절차를 종결한 것으로 보인다.

한 전 대표가 사퇴한 이후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달 9일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 출신인 여상원 변호사를 윤리위원장으로 임명했다. 윤리위는 이달 초 위원 구성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 윤리위는 이날 현역 국회의원 1명, 구청장 1명, 기초위원들에 대한 징계를 논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술자리에서 기자를 폭행하는 폐쇄회로(CC)TV가 공개돼 논란이 된 최원식 인천계양갑 당협위원장에 대한 징계 문제도 다뤄졌다. 다만 당론에 반대해 투표한 의원들에 대한 징계 논의는 없었다고 전했다.

많이 본 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