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통신 논평
권한대행 체제의 ‘프리덤 쉴드’, ‘기동함대사’ 비난
트럼프 ‘북 비핵화’ 발표 이후 태도 변화 요구로 해석
북한이 한국의 권한대행 체제에서 한·미연합훈련 등 대북 압박조치가 확대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표면적으로는 한국을 비난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대북 태도 변화를 우회적으로 요구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논평을 통해 “현직 대통령이 피고인으로 전락”한 상황에서 “괴뢰 군부 것들이 우리를 정조준한 대결 책동에 한사코 매여 달리고 있다”며 “여기에 미국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것은 불 보듯 명백하다”고 주장했다.
통신은 “1월 한 달만 놓고 보아도 쇠고랑을 찬 이전 우두머리들을 대리하는 어중이떠중이들은 ‘압도적 힘에 의한 응징’이니, ‘혹독한 대가’라느니 하면서 선임자들도 무색케 할 악스러운 망발을 했다”고 밝혔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7일 합동참모본부를 방문해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즉각 대응할 수 있는 태세를 유지하라”고 지시한 것을 겨냥한 것이다.
통신은 다음달 실시되는 한·미연합훈련 ‘프리덤 쉴드’도 비난했다. 통신은 “괴뢰 국방부는 프리덤 쉴드 기간 여단급 이상 야외기동훈련 횟수를 사상 최고를 기록했던 지난해보다 훨씬 더 늘리기로 하는 등 반공화국 대결적 성격이 뚜렷한 2025년 업무계획이라는 것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또 지난 1일 한국 해군의 기동함대사령부 창설을 언급하며 “(한국이) 식민지 하수인의 처지마저 망각했는지 어울리지도 않는 ‘전승’까지 떠들어댔다”고 밝혔다.
통신은 “(한국이) 저들의 패권전략 실현의 돌격대로서의 역할에 계속 충실하라는 것이 바로 상전인 미국의 요구”라며 “(미국은) 제가 지른 불에 저도 타죽을지 모를 어리석은 풍구질(풀무로 바람을 일으키는 일)을 걷어치워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를 향해 대북 압박정책을 변경하라고 우회적으로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이 트럼프 행정부에 기대한 한·미연합훈련의 횟수나 강도의 하향 조정이 이뤄지지 않자, 그에 대한 불만을 낮은 강도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에 유화적 제스처를 취해온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현지시간) ‘북 비핵화’ 원칙을 재확인했고, 북한은 지난 11일 미 핵잠수함의 부산 입항을 거론하며 “임의의 수단을 사용할 준비 상태에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북한이 미국에 대한 직접적인 비난 대신 한국을 겨냥해 수위를 조절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