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후 첫 중동 순방에 나선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16일(현지시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만나 “이란이 핵무기를 소지해선 안 된다”는 공동 입장을 재확인했다. 양국은 전쟁으로 폐허가 된 가자지구를 재건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구상과 관련해서도 대화를 나눴으나, 구체적인 실현 계획은 공개하지 않았다.
네타냐후 총리는 이날 예루살렘 총리 집무실에서 루비오 장관과 회담한 후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이스라엘과 미국은 이란의 위협에 맞서 어깨를 나란히 한다. 우리는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가 핵무기를 갖는 것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
네타냐후 총리는 “우리는 또 이 지역(중동)에서 이란의 침략을 철회시켜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지원으로) 우리는 일을 끝낼 수 있고, 끝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그가 언급한 ‘일’이 구체적으로 무슨 의미인지는 설명하지 않았다.
가자지구 재건 구상과 관련해서 네타냐후 총리는 “(트럼프 행정부와) 완전한 협력과 완전한 조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우리는 공통된 전략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 전략의 세부 사항을 항상 대중과 공유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모든 인질이 마지막까지 석방되지 않는다면 ‘지옥의 문’이 열릴 것이라는 점은 확실하다”고 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루비오 장관이 가자지구에 대한 이스라엘 정책을 지지해줬다고 주장했다. 앞서 그는 이스라엘이 모든 인질을 구출함과 동시에 하마스를 무너뜨리고, 가자지구가 더는 이스라엘에 위협이 되지 않도록 하는 전쟁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공언한 바 있다.
이 밖에 네타냐후 총리와 루비오 장관은 지난해 12월 종전한 시리아 인근 국경 보안 강화, 레바논과의 휴전 등과 관련해서도 논의했다. 네타냐후 행정부의 가자지구 공격을 “전쟁 범죄”라고 비난한 유엔인권이사회와 유엔국제사법재판소(ICJ), 유엔국제사법재판소(ICC) 등에 대한 조치도 논의했다고 네타냐후 총리는 밝혔다.
루비오 장관과 네타냐후 총리는 이날 오전부터 일대일 회담을 2시간가량 진행했다. 이후 곧바로 확대 회담을 열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을 주변국으로 이주시키고, 미국이 이 지역을 장악해 휴양지처럼 개발하겠다는 구상을 지난 4일 밝혔다.
이 가운데 극우 성향의 베잘렐 스모트리치미 이스라엘 재무장관은 “이스라엘은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주민 해외 이주 계획 이행 논의를 위해 미국과 적극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며, 가자지구에서 이주하는 과정은 앞으로 몇 주 안에 시작될 것”이라고 이날 취재진에게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