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다큐
2025.02.18 06:00 입력 2025.02.18 10:09 수정 성동훈 기자

커튼이 올라간 무대에 화려한 조명이 쏟아진다. 동춘서커스는 이 무대 위에서 관객들과 함께 울고 웃으며 100년의 역사를 써내려 왔다. 이미지 크게 보기

커튼이 올라간 무대에 화려한 조명이 쏟아진다. 동춘서커스는 이 무대 위에서 관객들과 함께 울고 웃으며 100년의 역사를 써내려 왔다.

“60년간 서커스만 생각했어요. 서커스는 내 인생 전부죠, 뭐.”

박세환 동춘서커스 단장에게 서커스의 의미다. 긴 세월 전국 방방곡곡을 돌며 애환을 노래한 역전 노장이 담담히 추억을 떠올리며 사연을 풀어놨다. “좋았던 순간도 많지만 지옥 같은 시간이었어요. 20개가 넘던 서커스단 중에 우리만 남았어. 정말 힘들었어요. 서커스만 생각하고 버티고 또 버틴 거야.”

한국 근현대사의 격랑 속에서 온갖 파고를 넘어온 동춘서커스가 올해 100주년을 맞았다. 동춘서커스는 1925년 5월 목포에서 일본 서커스 단원으로 활동하던 동춘 박동수씨가 조선인 30명을 모아 설립한 우리나라 최초의 서커스단이다. 1960~1970년대 황금기에는 총인원이 300여명에 달했다. 배우 허장강, 코미디언 남철·배삼룡·서영춘·이주일, 작곡가 이봉조, 가수 정훈희·하춘화 등 당대 내로라했던 예술인 다수가 동춘을 거쳤을 정도로 위세가 대단했다. “당시에는 서커스가 종합 엔터테인먼트 그 자체였어요. 쇼 1시간, 서커스 1시간, 신파극 1시간 구성인데, 이걸 보려 지게에 노모를 지고 먼 길을 걸어온 사람도 있었으니까. 가는 곳마다 긴 줄이 장관이었지.”

곡예사가 지상 8m 높이에서 공중 실크 묘기를 선보이고 있다. 이미지 크게 보기

곡예사가 지상 8m 높이에서 공중 실크 묘기를 선보이고 있다.

곡예사들이 장애물을 뛰어넘는 기술을 펼치고 있다. 이미지 크게 보기

곡예사들이 장애물을 뛰어넘는 기술을 펼치고 있다.

동춘서커스로 파견된 중국 산시성 장치시 공연단 소속 10대 곡예사들이 단체 모자 저글링 연기를 하고 있다. 이미지 크게 보기

동춘서커스로 파견된 중국 산시성 장치시 공연단 소속 10대 곡예사들이 단체 모자 저글링 연기를 하고 있다.

곡예사가 화려한 우산 묘기를 선보이고 있다. 이미지 크게 보기

곡예사가 화려한 우산 묘기를 선보이고 있다.

‘TV’의 등장은 ‘현장성’으로 승부했던 서커스에 사형선고를 내렸다. 1972년 방영된 드라마 <여로>는 치명타였다. 방영 다섯 달 만에 순회 극단과 곡예단 상당수가 문을 닫았다. 레저·프로스포츠·영화 등의 엔터테인먼트 사업도 위기를 부추겼다.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던 동춘서커스는 1987년 태풍 셀마에 피해를 입고 파산 상태에 빠졌다.

1963년 스무 살의 나이로 동춘에 입단한 박 단장은 87년 파산 위기에 놓인 동춘서커스를 인수했다. 비주류 문화로 전락한 서커스는 산업화, 민주화, IMF 외환위기, 신종 플루,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굵직한 부침을 겪었다. 여러 번 존폐의 기로에 서기도 했다. 현재는 30여명의 단원이 박 단장과 함께하고 있다.

곡예사가 무거운 항아리를 공중으로 던져 목으로 받는 고난도의 기술을 펼치고 있다. 이미지 크게 보기

곡예사가 무거운 항아리를 공중으로 던져 목으로 받는 고난도의 기술을 펼치고 있다.

무대에서 화려한 공연이 펼쳐지는 동안 한쪽에서는 다음 무대를 위해 곡예사들이 점프하며 몸을 풀고 있다. 이미지 크게 보기

무대에서 화려한 공연이 펼쳐지는 동안 한쪽에서는 다음 무대를 위해 곡예사들이 점프하며 몸을 풀고 있다.

곡예사들이 고난도의 아크로바틱 묘기를 펼치고 있다. 이미지 크게 보기

곡예사들이 고난도의 아크로바틱 묘기를 펼치고 있다.

90분 공연이 끝난 뒤 곡예사들이 모두 모여 마지막 연기를 펼치고 있다. 이미지 크게 보기

90분 공연이 끝난 뒤 곡예사들이 모두 모여 마지막 연기를 펼치고 있다.

지난 9일 경기 안산시 대부도에 위치한 동춘서커스 공연장을 찾았다. 어린아이부터 어르신까지, 천막 극장을 찾은 관객 모두가 곡예사들의 아찔한 몸동작에 숨을 죽인다. 무대와 객석을 가르며 쉴 새 없이 오가는 화려한 조명에 언뜻 비친 곡예사들의 얼굴이 앳되어 보인다. 이들은 현재 동춘서커스의 역사를 함께 쓰고 있는 중국 산시성 창즈시 시립공연단 소속 10대 곡예사들이다. 한국 곡예사의 명맥이 끊기기 시작한 10여년 전 박 단장은 고민 끝에 중국 지자체 공연단 소속 곡예사들을 파견 형태로 채용하기로 했다. 어린 나이지만 적게는 6년 이상 전문 훈련을 받았다. 저글링, 실팽이, 쌍대철봉타기, 애크러배틱 체조, 공중 실크 묘기 등 곡예와 묘기들로 90분 동안 관객을 사로잡는 기계체조와 서커스 전문가들이다.

곡예사들이 동료의 묘기를 바라보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이미지 크게 보기

곡예사들이 동료의 묘기를 바라보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곡예사 유퐁문(17)이 공연 중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다. 이미지 크게 보기

곡예사 유퐁문(17)이 공연 중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다.

동춘서커스단의 막내이자 수습 단원인 장용홍(15)이 고난도의 아크로바틱 연기를 선보이기 위해 철봉을 움켜 잡고 있다. 이미지 크게 보기

동춘서커스단의 막내이자 수습 단원인 장용홍(15)이 고난도의 아크로바틱 연기를 선보이기 위해 철봉을 움켜 잡고 있다.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고난도의 훌라후프 묘기를 시작하는 곡예사. 이미지 크게 보기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고난도의 훌라후프 묘기를 시작하는 곡예사.

곡예사가 동료의 공중 묘기를 바라보고 있다. 이미지 크게 보기

곡예사가 동료의 공중 묘기를 바라보고 있다.

공연을 마친 곡예사들이 휴식을 위해 방으로 향하고 있다. 이미지 크게 보기

공연을 마친 곡예사들이 휴식을 위해 방으로 향하고 있다.

한국 서커스 100년. 박 단장은 후학 양성을 위한 ‘서커스 아카데미’와 ‘상설 극장’ 설립을 꿈꾸고 있다. 공연장에서 2㎞가량 떨어진 위치에 약 1000평의 부지를 확보해둔 상태다. 박 단장은 “모든 것이 예산 문제가 걸려 있어 목표를 향한 속도가 상당히 더디다”며 “열심히 노력해서 다음 세대에 잘 보존된 한국 서커스 문화를 전승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공연을 마친 곡예사가 관객들을 향해 인사를 하고 있다. 이미지 크게 보기

공연을 마친 곡예사가 관객들을 향해 인사를 하고 있다.

막이 오르고 곡예사들이 관객을 향해 힘껏 달려 나간다. 질곡의 세월을 온몸으로 버텼던 동춘서커스가 다가올 100년을 위해 다시 한번 힘차게 도약하고 있다.

많이 본 기사

이런 기사 어떠세요?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