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군, ‘가자 주민 이주’ 부서 신설···불안감 휩싸인 팔레스타인

2025.02.18 10:54 입력 2025.02.18 14:29 수정

17일(현지시간) 가자지구 북부 자발리야 난민캠프에서 이스라엘의 공세로 파괴된 건물 잔해 속에서 마차를 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17일(현지시간) 가자지구 북부 자발리야 난민캠프에서 이스라엘의 공세로 파괴된 건물 잔해 속에서 마차를 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가자지구 재건 구상에 협조하고 있는 이스라엘 정부가 가자지구 주민의 이주 정책을 추진할 부서를 만든다.

17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일간지 타임스오브이스라엘에 따르면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팔레스타인 이주 사안을 논의한 결과 가자지구 주민들의 ‘자발적 이주’를 추진하기 위해 국방부 산하 새 조직을 설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조직은 다양한 정부 부처 소속 공무원과 군사조직 지휘관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 형태로 운영될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산하 팔레스타인 업무조직 민간협조관(COGAT)은 카츠 장관에게 주민 이주와 관련한 계획 초안을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스라엘 국방부는 “이주 계획에는 가자지구 주민에게 육로나 바다, 하늘을 통하는 특별 출국 조치를 지원하는 등 광범위한 방안이 포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도 트럼프의 가자지구 재건 추진에 동조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이날 “가자지구를 다르게 만들어내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에 헌신한다”며 “가자지구 전쟁의 다음 날이 오면 하마스나 팔레스타인자치정부(PA)는 그곳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주민의 이주가 ‘자발적’ 성격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현지 주민들은 강제 이주가 이뤄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게다가 트럼프 대통령 등이 팔레스타인인들의 영구 이주를 재건 방안으로 거론하면서 한번 이곳을 떠나면 고향에 돌아가지 못할 것이라는 불안감도 가자지구 주민 사이에서 퍼지고 있다.

이스라엘 내각에선 가자지구 일부를 자신들이 점령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극우 정치인 베잘렐 스모트리히 재무장관은 가자지구 북부와 가자지구·이집트 국경 완충지대 ‘필라델피 회랑’ 등 일부를 이스라엘에 합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스모트리히 장관은 “우리가 하마스를 물리치거나, 하마스가 우리를 물리치거나 둘 중 하나”라며 “휴전 1단계가 끝나면 전쟁으로 돌아가 가자지구 10%를 점령해 이스라엘 주권을 행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유럽연합(EU)은 오는 24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EU·이스라엘 연합 협의회에 팔레스타인인들의 ‘존엄한 귀환’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할 예정이라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는 EU는 ‘두 국가 해법의 실행 가능성을 훼손하는 모든 행동에 강력히 반대한다’는 메시지도 이스라엘에 전달할 계획이다.

많이 본 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