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억 물렸다···하루아침에 부도날 판” 패닉 빠진 ‘티메프’ 입점사들

2024.07.25 16:43 입력 2024.07.25 17:06 수정

25일 서울 강남구 티몬 본사에 환불을 요구하는 고객들이 몰려 있다. 한수빈 기자

25일 서울 강남구 티몬 본사에 환불을 요구하는 고객들이 몰려 있다. 한수빈 기자

티몬에서 전자제품과 카메라 등을 판매하는 A업체는 지난 19일 티몬으로부터 입금받을 예정이었던 5월분 판매 대금 11억원을 아직도 받지 못했다. 평소처럼 시중은행 선정산대출을 받아 상품 매입 대금을 치렀고 주문받은 상품도 소비자에게 배송했지만, 22일로 한 차례 미뤄진 정산은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다. 6월과 7월 판매대금까지 합치면 피해액은 훨씬 커진다. A업체 대표는 “신용도 튼튼하고 흑자를 내고 있는 회사였는데 이 상태가 계속되면 하루아침에 흑자부도를 맞을 수도 있다”고 토로했다.

티몬·위메프발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이들 플랫폼에 입점해 있던 중소업체들이 줄도산 위기에 빠졌다. 여행상품 등을 결제한 소비자들은 수백만원대의 손실을 봤지만, 이들은 수십억대 금액을 물린 데다 현금이 돌지 않으면 회사 자체의 존폐를 걱정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티몬·위메프 등 큐텐그룹 계열 플랫폼에 입점한 판매자는 약 6만곳이다. 오픈마켓에 입점한 셀러 특성상 대부분 영세업체들이고, 판매대금이 제때 들어오지 않으면 회사 운영자금이나 물품 매입대금 등을 치르기 어렵다. 이들은 7월 정산 예정이던 5월 판매대금을 정산받지 못한 상태이고, 6~7월 판매대금 정산도 이뤄지지 않으면 앞으로 자금경색이 심해질 수 있다.

업계에서는 특히 거래금액이 큰 디지털·가전, 여행 등의 카테고리에 입점한 판매자들이 이번 사태로 도산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까지 금융당국이 집계한 티몬과 위메프의 판매자 미정산금은 1700억원 수준이다. 이미 이번 사태의 여파로 사업을 접는 업체도 생기고 있다. A업체 대표는 “주변 한 업체는 미정산금을 감당하기 어렵다며 사업 청산을 위해 직원들을 정리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사태가 이른 시일 안에 해결되지 않으면 금융권과 협력업체 등으로도 불이 옮겨붙을 수밖에 없다.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입점한 판매자들은 정산금이 들어오기 전 매입대금을 치르기 위해 은행에서 선정산대출을 받는 경우가 많다. 선정산대출은 전자상거래 판매자들이 이미 발생한 매출을 담보로 받는 대출로, 보통 정산예정금액의 80%까지가 대출 한도다. 판매자가 은행에서 대금을 먼저 받으면 정산일에 플랫폼이 은행으로 직접 대출을 상환하는 구조다.

하지만 정산금이 제때 들어오지 않으면서 상당수 판매자들이 받은 선정산대출이 연체 상태가 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선정산대출 규모는 2019년 252억원에서 2022년 6239억원으로 25배로 불어났다. 플랫폼별로는 쿠팡 입점사의 대출액이 가장 많고 두 번째가 위메프다.

티몬·위메프 입점업체들의 자금줄이 막히면 이들에게 물품을 납품한 제조·협력업체도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 약 5억원의 정산대금을 받지 못했다는 한 쌀 도매상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5월 판매대금에 대한 정산일자가 계속 밀리다가 정산이 안 된다는 통보를 받았고 6월과 7월 정산금도 받지 못하는 사태가 현실화돼 간다”며 “쌀 도매상이 무너지면 정미소와 농민들의 줄부도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류화현 위메프 공동대표는 이날 서울 강남구 위메프 본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비자 피해를 최우선으로 해결하고 이후 소상공인 대응을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