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심근경색에 심방세동까지 겹쳤다면··· ‘항응고제’만 써야 부작용 줄어

2024.09.02 14:16 입력 2024.09.02 15:20 수정


협심증·심근경색 등 관상동맥질환에 심방세동이 동반될 경우 심방세동 치료제인 항응고제만 복용하는 것이 부작용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

협심증·심근경색 등 관상동맥질환에 심방세동이 동반될 경우 심방세동 치료제인 항응고제만 복용하는 것이 부작용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


심장을 뛰게 하는 혈관에 이상이 생기는 관상동맥질환에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심방세동까지 동반되면 보통 각 질환별 치료 약제를 함께 복용했으나, 심방세동 치료제인 항응고제만 복용하는 것이 부작용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남기병·박덕우·조민수·강도윤 교수 연구팀은 심방세동과 관상동맥질환을 함께 갖고 있는 환자의 치료제 복용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최적의 치료법을 탐색한 연구를 저명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의학저널(NEJM)’에 게재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진은 두 질환을 동반하는 환자 1040명을 대상으로 1년간 치료효과를 분석한 결과 질환별 치료제를 모두 복용한 복합치료 집단보다 심방세동 치료제만 복용한 단독치료 집단에서 사망·뇌졸중·심근경색·출혈 등 주요 임상사건 발생률이 약 56% 낮았다고 밝혔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는 협심증·심근경색 등 관상동맥질환은 전세계 사망원인 1위를 기록할 정도로 흔하면서도 위험한 질환이다.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심방세동 역시 부정맥 중 가장 유병률이 높아 이들 두 질환이 동시에 동반되는 환자 또한 매우 흔하다. 일반적으로 관상동맥질환은 항혈소판제로, 심방세동은 항응고제로 치료해왔는데, 각 약제의 기전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혈액을 묽게 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때문에 두 질환을 같이 갖고 있는 환자가 두 가지 약제를 함께 장기적으로 복용할 경우 부작용이 생길 위험이 커진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두 질환이 함께 동반된 환자 1040명을 항응고제로만 단독치료한 집단 524명과 항응고제·항혈소판제를 모두 이용한 복합치료 집단 516명으로 나눠 1년 뒤 치료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복합치료 집단에서는 사망·뇌졸중·심근경색·출혈 등 주요 임상사건 발생률이 16.2%였던 반면, 항응고제 단독치료 집단에서는 6.8%로 낮았다. 단독치료 집단의 주요 임상사건 발생률이 약 56% 낮았고, 이런 결과는 출혈사건이 약 66% 감소한 데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주요 임상사건 가운데 사망이나 뇌졸중·심근경색 등의 발생률은 복합치료 집단 1.8%, 단독치료 집단 1.6%로 큰 차이 없이 모두 비교적 안전했다. 반면, 출혈사건 발생률에서만 단독치료 집단 4.7%에 비해 복합치료 집단은 14.2%로 큰 격차를 보였다.

연구진은 전세계 의사들의 임상치료 교과서로 불리는 ‘NEJM’에 게재된 이 연구를 통해 관상동맥질환과 심방세동을 함께 앓고 있는 환자에게 부작용을 줄인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남기병 교수는 “그동안 최적 치료 방침에 대한 임상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에서 다기관 연구를 통해 치료 방침을 바꿀 중요한 결과를 얻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약물치료지침을 최적화해 환자들의 예후가 개선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덕우 교수는 “심방세동과 관상동맥질환은 심한 경우 사망까지 이를 수도 있지만, 적절히 치료받으면 증상을 완화하고 이로 인한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며 “따라서 환자 임의로 복용하는 치료제를 변경하거나 중단하기보다 반드시 전문의와의 상의를 통해 본인에게 최적화된 치료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