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비알코올성 지방간이라 불리는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심각한 20~30대 젊은 성인은 급성심정지 위험이 55%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해당 연령대의 10명 중 1명은 갑자기 심장기능이 멈출 위험이 높은 ‘고도’의 지방간지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최종일·정주희 교수, 소화기내과 임선영 교수,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 연구팀은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있는 20~30대 성인의 지방간지수에 따라 급성심정지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을 최초로 확인한 연구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2009~2012년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검진을 받은 해당 연령대 약 539만명의 데이터를 평균 9.4년간 추적 연구한 세계적으로 최대 규모의 연구를 수행했다고 밝혔다.
대부분 과체중이나 비만을 동반해 나타나며 전체 인구의 약 25%에게 발생할 정도로 흔한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은 간뿐만 아니라 심혈관계질환이나 사망과도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이 지방간질환이 젊은 성인에게 나타날 수 있는 급성심정지의 위험인자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중성지방 수치 등을 통해 계산한 지방간지수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류해보니 전체 연구 대상자 중 15.5%는 중등도, 10%는 고도의 지방간지수를 보였다.
이어 지방간지수에 따른 급성심정지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지방간지수가 중등도인 그룹은 정상 그룹보다 급성심정지 위험도가 1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간지수가 고도인 그룹은 위험도가 55%까지 상승해 지방간질환이 심할수록 급성심정지 위험 또한 급격히 높이는 상관관계가 규명됐다.
연구진은 이 연구에 근거해 지방간질환이 있다면 해당 질환은 물론 대사 및 심혈관질환에 관해서도 꾸준히 경과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최종일 교수는 “기본적으로 젊은 성인은 노인보다 급성심장사 발병률이 훨씬 낮기 때문에, 젊은 성인의 지방간과 관련한 급사는 중요한 보건학적 문제로 인식해야 할 것”이라며 “지방간질환은 심정지의 공통 위험인자인 대사증후군과 심혈관질환의 위험성도 증가시켜 급성심정지 위험도 상승으로 이어졌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