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 122, 111, 113, 1337, 1301, 118, 125, 117… 긴급전화 하나로 통합해야

2014.05.01 22:18

여객선 세월호가 침몰할 당시 승객들은 ‘119’에 도움을 요청하는 전화를 걸었다. 전남도소방본부 119상황실에는 16일 오전 9시를 전후에 23통의 신고전화가 울렸다. 근무자들이 모두 통화 중이어서 일부 전화는 ARS로 넘어가기도 했다.

육상구조를 전담하는 119는 곧바로 출동 지시를 내리지 못하고 전화를 해경 상황실로 연결했다. 해경이 현장으로 출발하기까지는 이후에도 수분이 흘렀다. 해경에 출동 지시를 내릴 수 있는 해경의 긴급신고 전화 ‘122’에는 7건의 신고만 접수됐다. 그나마 최초 신고는 119로 갔다. 다급한 상황에서 탑승객들이 가장 먼저 떠오른 119로 전화를 걸었다가 안 받자 122로 전화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세월호 침몰사고를 계기로 분산돼 있는 긴급전화를 하나로 통합해 운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재의 긴급전화 체계는 신고 내용이 같더라도 정부 부처가 다르면 전화번호도 다르다.

간첩신고 전화번호는 무려 3개나 된다. 111은 국가정보원, 113은 경찰청, 1337은 국군기무사령부가 운영한다. 경찰청은 범죄신고 전화 112를 운영하고 있다. 소방방재청은 화재·구조·구급·재난신고를 받는 119를 사용하고 있다.

해양 긴급신고 122는 해양경찰청 소관이며 검찰에는 마약과 범죄종합신고 번호인 1301이 있다. 사이버테러 신고전화 118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운영한다. 125번인 밀수사범 신고전화는 관세청이 만들었다. 범죄 유형별 신고전화번호도 다르다. 학교폭력과 성매매는 117, 가정폭력 1366, 아동학대 129, 미아·가출신고 전화는 182, 금융관련피해신고는 1332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