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의 댐 건설 후보지 지정에 강원 양구군 수입천과 충남 청양군 지천 주변 주민, 지자체 등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모두 20여년 전 댐 건설이 추진됐다가 무산된 곳이다.
서흥원 양구 군수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양구 주민들은 소양강댐 건설 이후 고통을 감내해 왔다”며 “이들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생각한다면 양구군에 또 다른 댐을 건설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양구군은 또 “일각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댐의 용도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용수 공급이라면 농업용수가 부족해질 수 있고 이에 따른 농민들의 큰 타격이 예상된다”고우려했다. 댐 건설 예정지인 방산면은 천연기념물인 열목어와 산양의 서식지다. 이곳에 있는 두타연은 비무장지대(DMZ) 인근에 있어 희귀 동식물의 생태환경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지만 댐이 건설될 경우 수몰된다.
청양 주민들도 지난 18일 ‘지천댐 반대 준비모임’을 만들어 기자회견을 열고 “댐 건설로 인한 안개 피해와 환경파괴로 청양군은 심각한 위기에 빠질 수밖에 없다”면서 “댐을 건설해서 인구가 늘어난 지역이 없다”고 비판했다.
환경부가 댐 건설 후보지를 발표하자마자 두 지역에서 반대 목소리가 터져나온 것은 이들 지역이 과거 댐 추진으로 인해 홍역을 겪은 바 있기 때문이다. 2001년 당시 댐 건설을 관장하던 국토교통부는 2011년까지 한강권 2곳(한탄강, 북한강 수입천), 낙동강권 7곳(위천, 감천, 영덕오십천, 이안천, 내성천, 남강, 왕피천), 금강권 1곳(지천), 영산강권 1곳(황룡강 평림천), 섬진강권 1곳 (섬진강 본류) 등 12개의 댐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주민들의 강한 반발에 부딪히면서 수입천 댐 건설은 2007년 무산됐다. 당시 주민들이 댐을 반대한 이유는 “수몰을 대물림할 수 없다”는 이유가 컸다. 수입천 일대 주민 상당수는 근처 화천댐과 소양강댐 건설로 수몰된 마을에서 이주한 이들이었다. 화천댐과 소양강댐은 각각 1944년과 1976년 건설됐는데, 수입천에까지 댐이 만들어지면 3대에 걸쳐 수몰지 이주민이 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게다가 양구군은 1973년 소양강댐 건설로 수인리, 웅진리, 원리 등 상당수의 주민이 삶의 터전을 잃었고 도로가 끊겨 오랜 기간 육지 속의 섬 신세였다.
지천 주민들도 주민 터전 붕괴를 이유로 댐 건설을 반대해 댐 건설이 백지화됐다. 2012년에도 지천에 댐 건설이 추진됐으나 마찬가지 이유로 철회됐다. 주민들은 댐 상류 지역 규제로 인한 피해뿐만 아니라 안개로 일조량이 줄어 농산물의 품질이 낮아진다고 주장했다. 또 미호종개 등 천연기념물의 서식지도 파괴된다고 댐 건설을 반대했다.
환경부는 “(수입천 댐 건설로)수몰되는 민간 가옥이 단 한 세대도 없다”면서 댐 건설로 인한 피해가 적을 것이라 주장했지만 양구군 측은 “고방산 인근에 있는 10만2300여㎡의 농지와 주택·펜션 등이 수몰될 위기에 처한다고 반발했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이날 “(후보지 14곳이)모두 확정된 것은 아니”라면서 “논의를 시작하는 첫발을 뗀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