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 갭이어를 고함

2022.06.30 03:00 입력 2022.06.30 03:03 수정

오랜만에 중장년 강의를 했다. 야간 수업이었음에도 똘망똘망한 눈으로 메모를 하며, 예리한 질문을 쏟아내는 참가자들과 마주하니 없던 힘도 솟았다. 강의 후 한 남성분께서 ‘이런 교육을 5년 전쯤 미리 받았더라면 정말 좋았겠다’는 소감을 남겼다. 장시간 운전에 2시간을 꼬박 서서 강의하느라 몸은 녹초가 되었지만, 많은 생각이 떠올랐다.

남경아 <50플러스세대> 저자

남경아 <50플러스세대> 저자

며칠 전 ‘경기도지사 청년정책 1호는 청년 갭이어(Gap year)’라는 뉴스를 보았다. 나는 여러 청년 정책 중 갭이어를 가장 우선으로 발표한 것이 신선했는데, 한편으로는 직업의식이 발동하여 ‘왜 중장년 갭이어에 대한 논의는 없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갭이어(Gap Year)’는 학업이나 일을 잠시 멈추고 봉사, 교육, 인턴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자기주도적인 진로탐색의 시간을 갖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래전부터 갭이어 시범사업들이 있었지만, 대부분 지자체를 중심으로 20대 청년 일부를 대상으로 단편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그쳤다. 갭이어가 단순히 청년층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이 확대되고는 있지만, 본격적인 논의는 없는 것 같다. 나는 생애전환기에 해당되는 50플러스 세대에게 갭이어는 옵션이 아닌 필수라 생각한다.

일찍이 문화심리학자 김정운 박사는 “평균수명의 연장은 어마어마한 혁명이다. 사회구조 변혁보다 더 무서운 일이다. 그런데 백년을 사는 것에 대해 이렇게 대책이 없을 수 있나”라고 개탄하며, “우린 그동안 대학까지 16년 정도 공부한 것으로 60세까지 버텼다. 백세시대 중년기에는 자기의 삶과 인생을 성찰해야 한다”라고 강조한 바 있다. 또 정신분석가 카를 융은 중년기를 인생의 전환점이자 위기의 시기로 보고, 이 중년기를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자신만의 고유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그래서 어찌 보면 백세시대에는 그 절반쯤 되는 시기에 한 번 더 의무교육과정 같은 절대적 시간이 필요한 것은 아닐까?

그간 우리 사회 중장년 지원 정책도 조금씩 진일보 중이지만, 아직은 과도기적 단계인 것 같다. 중장년 사업의 정체성이 모호한 가운데, 대부분 단기 교육 중심의 단발성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욕구와 경험을 가진 중장년층을 포괄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좀 더 적극적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을 의무화했듯이, 중장년 갭이어를 제도화하는 것이다. 일부 직업군에만 존재하는 ‘안식년제’도 모든 직업군으로 확대되기를 바란다. 또 OECD 국가 중 평균 퇴직 연령 50대 초반으로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기업들도 일종의 ‘퇴직준비휴가제’ 같은 선도적인 인사 제도를 도입하여 사회적 책임을 높이는 모습을 보여주기를 희망한다. 단순 교육과정을 넘어 인턴십, 지역 살아보기, 국내외 자원봉사활동 등 새로운 일자리와 활동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이 뒷받침되는 것은 기본이다.

생애전환과정이 얼마나 어렵고 힘든 건지 미국의 ‘전미은퇴자협회(AARP)’ 관계자는 이를 ‘서커스의 공중그네 타는 것’으로 비유했을 정도다. 이 어려운 전환의 과정을 개인들에게만 맡겨둘 것인가? 백세시대, 50플러스 세대는 살아온 만큼의 시간이 남아 있다. 모든 50플러스 세대에게 잠시 멈춤, 탐색할 시간을 허하라!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